"7만5천원 내고 2대주주"..에볼루스 71%↑ 메디톡스 '상한가' [박해린의 뉴스&마켓]

박해린 기자 2021. 2. 22. 17: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해린 기자]
<앵커>

박해린 증권부 기자와 함께 하는 뉴스&마켓 시간입니다.

박 기자, 오늘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이 `보톡스 분쟁`서 드디어 합의를 이뤘다는 소식에 메디톡스는 상한가를 기록했고, 대웅제약도 14%대 상승하면서 시장이 떠들썩했죠.

이제 두 회사는 어떻게 되는 겁니까?

<기자>

네, 먼저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사안이 있습니다.

오늘 많은 분들이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이 합의해 보톡스 분쟁이 끝났다"라고 알고 계시던데요.

엄밀히 따지면 사실이 아닙니다.

이번 합의는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의 미국 유통·판매 파트너사인 에볼루스간 이뤄진 합의라는 점 유념하셔야 합니다.

<앵커>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이 직접 합의한 건 아니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합의 당사자에 대웅제약은 포함돼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국내 소송은 예정대로 진행될 예정이기 때문에 아직 완전히 `소송의 불씨`가 꺼진 것은 아닙니다.

<앵커>

그렇군요. 합의 내용을 살펴보죠.

<기자>

네, 에볼루스는 메디톡스 등에 2년간 합의금 3,5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380억원을 지불하기로 했습니다.

대신 메디톡스는 에볼루스가 대웅제약의 나보타를 미국 내에서 판매할 수 있도록 했는데요.

다만, 미국 내 판매량에 따라 에볼루스는 메디톡스에 일정 비율의 기술료를 지급해야 합니다.

<앵커>

메디톡스 측은 합의금과 기술료를 받고 미국 내에서 대웅제약의 나보타가 판매될 수 있게 한 것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또 메디톡스는 우리 돈으로 약 7만5,000원에 에볼루스의 2대 주주가 됐습니다.

<앵커>

이건 또 무슨 얘기인가요?

<기자>

에볼루스가 발행하는 보통주 신주 676만주 가량을 메디톡스가 총 67.62달러, 우리 돈 약 7만5,000원에 인수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사실상 무상으로 받은 셈이죠.

인수가 끝나면 메디톡스는 에볼루스의 지분 16.7%를 갖게 돼 2대 주주가 됩니다.

에볼루스의 주가는 현지 기준 18일 7.16달러에 장을 마쳤었는데요.

합의안 소식이 전해진 이후 하루 만에 71%가량 올라 현재는 약 12.3달러까지 올라온 상황입니다.

<앵커>

71%면 엄청나네요.

박 기자, 최근에 주린이에 이어 해외 주식에 뛰어든 초보 투자자분들은 `해린이`라고 하던데요.

에볼루스에 투자한 해린이 여러분도 기분 좋은 주말이 됐을 것 같네요.

<기자>

네, 에볼루스의 주가는 보톡스 분쟁으로 바닥을 쳤었으니 그동안의 속앓이에 대해 보상받은 기분일 겁니다.

에볼루스의 주가가 너무 떨어지니까 대웅제약이 지난해 ITC 예비판결 이후 에볼루스의 전환사채 307만주를 취득해 `에볼루스 달래기`에 나서기까지 했었거든요.

이번에 메디톡스가 2대 주주가 된다고 전해드렸잖아요?

만약 대웅제약도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한다면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이 에볼루스 내에서 `적과의 동침`하는 상황까지 연출될 수 있다는 점도 관전 포인트로 꼽힙니다.

<앵커>

재밌는 포인트들이 많네요.

<기자>

네, 사안이 좀 복잡해서 정리를 다시 하자면, 이번 합의는 메디톡스와 에볼루스간 이뤄진 것이고, 에볼루스는 메디톡스에 합의금과 향후 판매분에 대한 기술료와 자사 주식을 주고, 메디톡스는 나보타가 미국 내에서 판매될 수 있도록 합의했다, 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이번 합의에 대해 증권업계는 어떻게 보고 있나요?

일단 오늘 양사의 주가를 보니 긍정적인 것 같긴 합니다.

<기자>

맞습니다.

특히 메디톡스가 "실리를 챙겼다"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메디톡스는 ITC 소송을 벌이면서 매년 수백억원의 소송비용을 지출해 왔는데, 기본적으로 이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 것이고요.

하나금융투자는 "올해 추정치만큼 나보타의 매출이 발생한다면 6%의 로열티를 가정했을 경우 약 500만 달러의 기술료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또 합의금과 로열티뿐 아니라 에볼루스의 2대 주주라는 위치를 활용해 미국, 유럽시장 판매를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증권업계는 대웅제약 또한 미국과 유럽에서 나보타 판매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점을 주목하며 올해 큰 폭의 이익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업계에선 적정가를 어느 정도 수준으로 보고 있나요?

<기자>

메디톡스의 경우 하나금융투자는 42만원을, 한국투자증권은 30만원을 적정가로 보고 있습니다.

대웅제약의 경우 KTB투자증권은 21만원, 한국투자증권은 19만원을 제시했습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박해린 기자 hlpark@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