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채금리 급등과 테이퍼링 우려..머스크, 테슬라 주식보다 비트코인 선택?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1. 2. 22. 09: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요즘 월가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는 용어는 美 국채금리, 인플레이션, 테슬라, 머스크, 비트코인이라는데요. 이처럼 최근에 활발한 어조 지수로 본다면 월가의 관심이 어느 쪽으로 가고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는데요 최근 월가에서 가장 활발하게 거론되고 있는 용어들의 상당수가 테슬라의 머스크 회장과 관련돼 있어 더 주목받고 있는데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Q.안녕하십니까? 요즘 월가의 시장 참여자들의 최대 관심이 국채금리 상승과 인플레 우려이지 않습니까?

-美 증시, 인플레와 국채금리 상승 부담

-10년물 국채금리, 장중 한때 1.35% 상회

-국채금리 상승, 속도가 너무 빠른 것 문제

-성장률<장기금리 상승, 금융완화 효과 반감

-Fed와 파월, 부양책과 금리안정 간 고민

-대규모 경기 부양책, 금리상승 추가 요인

-Fed, 금융완화로 안정시키기 위해서 한계

Q.국채금리 상승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이번 주에 예정된 파월 의장의 청문회에 관심이 쏠리고 있죠?

-파월 청문회,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처음

-트럼프 정부 임명, 바이든 정부 재임명

-코로나 경기 등 총괄적인 경제상황 점검

-파월, 스네이크 경기 상황 언급할 것

-국채금리 상승과 인플레이션 언급 주목

-고용 창출 목표 부진으로 금융완화 유지

-국채금리 상승과 물가 언급, 최대한 신중

Q.하지만 시장에서는 미국 국채금리가 빠르게 상승하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주식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지 않습니까?

-어조 지수, 최근 들어 급격히 바뀌고 있어

-텍스트 마이닝 기법, 주식 (+), 비주식 (-)

-최근 들어 (-)로 바뀔 때도 빈번하게 발생

-퍼스트 무버, 현금 확보와 대체투자 관심

-월가, 어조 지수로 본 ‘7대 용어’ 주목

-①미국 국채금리 ②인플레이션

-③경기부양책 ④테슬라

-⑤일론 머스크 ⑥머스키즘 ⑦비트코인

Q.재닛 옐런과 제롬 파월 등과 같은 정책당국자의 금융완화 의지와 미국 국채금리 상승과 인플레 우려가 좀처럼 줄지 않는 시장과의 엇박자가 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코로나 이후 저금리, S&P500 기업 수익 개선

-FAANG·MAGA 등 대형 기술주 수익 기여

-10년물 국채금리 1.5% 상회시, 수익 급감

-1.7% 이상 상승시, S&P500기업 70% 손실

-10년물과 2년물 금리차이 1.23%p 확대

-2017년 2월 이후, 4년 만에 최대 격차 확대

-1.25%p 벌어지면 테이퍼링 우려 ‘불가피’

-테이퍼링 지연, Fed ‘트리플 거품’ 비판

Q.요즘 월가의 분위기가 확실하게 변한 것 같은데.. 비트코인에 대해서도 관심도가 부쩍 높아지고 있지 않습니까?

-비트코인, 지난 주말 57,000달러 돌파

-머스크, 비트코인 전향적인 발언 이후 급등

-시프와의 토론 중 비트코인 거품 경계 발언

-비트코인과 가격 전망에 대한 ‘다양한 견해’

-바이든 ‘전향적’, 옐런 재무장관 ‘신중한 입장’

-워런 버핏과 빌 게이츠 의장, 부정적인 입장

-머스크, 테슬라 주식과 비트코인 중 어떤 것?

Q.하지만 정책당국자나 워런 버핏, 빌 게이츠와 달리 앞서가는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 않습니까?

-비트코인 가격 급등세, 그만큼 관심도가 높다는 의미

-빠른 상승세, 작년 3월 대비 11배 sky rocketing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다른 가상화폐 가격도 상승

-일상생활에서 결제수단 변화 ”현금없는 사회“

-글로벌 기업, 자사 제품 결제수단 가상화폐 고려

-글로벌 금융사, ETF 등 비트코인 관련 상품 출시

-국민, 케네스 로코프 ‘현금 없는 사회’ 닥쳐

Q.민간의 화폐생활이 변하면 주무부서인 중앙은행 입장에서는 그대로만 둘 수는 없지 않습니까?

-민간 가상화폐 활성화, 중앙은행 수용해야

-중앙은행, 발행기관과 법정화 여부를 결정

-CBDC가 직접 발행, 2가지 문제 해결

-각국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 앞다퉈 도입

-작년 5월 도입 디지털 위안화, 성공적 정착

-디지털 엔화·디지털 유로화 도입 등도 확정

-BIS, 세계 국가의 80% ‘디지털 통화’ 연구

Q.이번주 파월 의장의 청문회에서도 관심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렇다면 Fed가 언제 디지털 달러화를 도입할 것으로 보십니까?

-트럼프, 국가권력 넘보는 기업 권력 ‘집중 견제’

-디지털 달러 도입 연기, ‘트리핀 딜레마’ 봉착

-코로나 극복 유동성 확대, 기축통화 지위 약화

-미국, 더 이상 달러 패권 누리지 못할 가능성

-여타국, 달러 함정 벗어날 수 있는 좋은 기회

-달러 함정 탈피, 보유 달러화가 대거 출회될 듯

-원·달러 환율도 폭락할 확률 배제할 수 없어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