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금동신발 두 건 보물 된다..삼국시대 신발유물 최초

이종길 2021. 2. 16. 11: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창 봉덕리 1호분·나주 정촌고분 출토 백제 금동신발
삼국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 고유 고대 금속공예품
"5~6세기 백제 사상·미술 이해에 중요한 유물"
고창 봉덕리 1호분 금동신발 발굴 모습

백제 금동신발 두 건이 삼국시대 신발 유물 최초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과 전남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한 백제 금동신발 두 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16일 전했다.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전자는 우리나라 고대인의 상장례(喪葬禮) 문화, 후자는 5~6세기 백제 금속공예 기술을 알려주는 유물이다. 모두 한 쌍으로 출토됐으며 5세기에 만들어졌다고 추정된다. 박수희 유형문화재관 연구관은 "삼국시대 고분 출토 금동신발 가운데 완전한 형태로 발견된 보기 드문 사례"라고 말했다.

고창 봉덕리 1호분 금동신발

그간 삼국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귀걸이, 목걸이, 팔찌 상당수는 국보나 보물로 지정됐다. 금동신발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 예고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간 마한 백제권 고분에서 발견된 금동신발은 공주 무령왕릉, 화성 요리, 원주 법천리, 공주 송산리·수촌리 등에서 출토된 열아홉 점으로 전해진다.

박 연구관은 "금동신발은 삼국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 고유의 고대 금속공예품"이라며 "비슷한 시기 중국 유적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고, 일본 고분에서도 유사한 형태의 신발(에다후나야마·이치스카·가모이나리야마·후지노키 고분)이 출토된 적은 있으나 이는 우리나라에서 전래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제 금동신발 출토양상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네 기의 대형 분구묘(墳丘墓·분구를 조성한 다음 그 안에 매장시설을 설치하는 무덤 양식) 가운데 가장 규모 큰 1호분 제4호 석실에서 2009년 무덤 주인의 양쪽 발에 신겨진 상태로 발굴됐다. 장례에서 의례용으로 사용된 신발로, 백제의 전형적인 형태와 문양을 보여준다.

전체적인 형태는 배 같다. 발목 깃을 갖췄고, 앞쪽이 뾰족하게 조금 위로 들렸다. 중간 바닥은 편평하며, 뒤쪽은 약간 좁아지면서 둥글다. 투각(透刻·재료 면을 도려내거나 깎아서 무늬를 만드는 조각 기법)한 육각형 안에는 용, 인면조신(人面鳥身·사람얼굴에 새 몸통을 가진 상상의 동물), 쌍조문(雙鳥文·두 마리 새 문양), 괴수(怪獸), 연꽃 등 각종 문양이 화려하게 장식됐다. 신발 바닥에는 높이 1.7㎝의 뾰족한 못 열여덟 개를 규칙적으로 붙였고, 내부는 비단 재질의 직물을 발라 마감했다.

나주 정촌고분 금동신발 출토 모습

박 연구관은 "현재까지 삼국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 열아홉 점 가운데 가장 형태가 완벽하다"며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과 비교하면 물고기 알 등 삼국 시대 초기 문양이 확인돼 시기적으로 앞선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령왕릉의 왕·왕비 신발 같이 바닥판·좌우측판·발목 깃판으로 구성됐으며, 바닥에 징을 박은 백제 금동신발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인다"며 "왕의 힘을 과시하고 지방 수장의 위신을 세워주기 위해 지방 유력 지배층에 내려준 위세품(威勢品)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대형 분구묘인 정촌구분 1호 석실 제3목관에서 2014년 발굴됐다. 5∼6세기 영산강 유역에는 복암리고분군, 정촌고분, 영동리고분군 등 대형 고분이 축조됐는데, 이 가운데 정촌고분은 약 1500년 전 백제 문화를 가장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고분으로 평가된다. 특히 이곳에서 나온 금동신발은 발등 부분에 부착된 용머리 장식이 현존 삼국시대 금동신발 가운데 유일한 사례여서 큰 주목을 받았다. 최근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과학 분석을 통해 이 신발 주인을 40대 여성으로 추정한 바 있다.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이 금동신발의 형태와 제작기법, 문양 등은 고창 봉덕리 출토 금동신발과 매우 유사하다. 얇은 금동판 네 장으로 바닥판과 좌우 옆면판, 발목깃판을 만들어 서로 작은 못으로 연결했고, 문양을 투각해 세부를 선으로 묘사했다. 아울러 육각문, 용문, 인면조신, 괴수문, 연화문 등 고대인의 사후 세계관을 반영한 듯한 문양이 세밀하게 표현돼 있다. 박 연구관은 "5세기 후반 제작돼 6세기 무령왕릉 출토 금동신발로 이어지는 과도기 단계를 가리키는 공예품"이라며 "5~6세기 백제의 사상과 미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