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귀 어두운 '사오정' AI 스피커..이 센서 하나로 해결
스마트폰·AI스피커의 음성 식별도 개선
"조만간 상용화 가능. 파트너 물색 중"
사람의 귓속 구조를 본뜬 고품질 음성인식 센서가 개발됐다. 스마트폰이나 인공지능(AI) 스피커에 탑재해 조만간 상용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음성인식 오류를 최대 95% 개선한 세계 최초의 ‘공진형 유연 압전 음성 센서’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공진형 유연 압전 음성 센서는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 센서가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현상(공진)과 압력을 가하면 전기적 신호가 자발적으로 생성되는 현상(압전)을 응용한 센서다.
지금까지 AI 스피커는 음성인식 오류를 주로 소프트웨어 기술로 해결하려고 시도했다. 이에 비해 이건재·왕희승 KAIST 신소재공학과 연구진은 물리적으로 음성을 인식하는 센서 자체를 새롭게 개발했다. 귀가 어두운 사람이 보청기를 끼면 더 잘 들리는 것과 같은 개념이다.
사람의 귀는 달팽이관에 있는 사다리꼴 기저막이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 현상을 유발해 소리를 증폭한다. 길이가 불과 30㎜인 기저막은 마이크로미터(μm) 구조 덕분에 공진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런 귓속 기저막 구조를 본따 매우 얇고 유연한 센서를 제작했다. 이건재 교수는 “인간의 귀 구조를 모사해 공진형 음성 센서를 제작한 건 사상 최초”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제작한 센서는 상대적으로 음성을 정확히 식별했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음성을 식별하는 정확도는 높았고, 상황에 따라 음성을 잘못 인식하는 확률은 60~95% 줄었다. 이 교수는 “음성명령을 각각 50회씩 테스트한 결과, 시판 중인 AI 스피커나 아이폰·갤럭시 등 스마트폰이 음성명령을 평균 10번 잘못 인식할 때, 연구진의 센서를 사용한 제품은 음성명령을 1~4번 정도만 잘못 인식했다”고 소개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개발한 센서를 스마트폰과 AI 스피커에 탑재해 제품화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진이 창업한 기업(프로닉스)은 미국 실리콘밸리의 정보기술(IT) 기업과 협업해 제품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 교수는 “이번에 제품화한 음성 센서는 미래 AI 기술을 구동하는 핵심 센서로, 조만간 실생활에 적용한 제품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며 “국내 기업에도 관심은 있지만 AI·사물인터넷(IoT) 분야에서 세계를 리드하는 해외 기업을 파트너로 물색하는 단계”라고 했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드」
12일자에 실렸다.
문희철 기자 reporter@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눈물·오줌 바가지 다 채워와"···여자배구 학폭 끝나지 않았다
- 설 시집살이 울컥···4시간반만에 230만뷰 대박 난 며느라기
- 다세대주택 옥상서 악취난 이유가…어머니 시신 30년 보관한 80대
- 편파방송 의혹에 업무 뺀다더니…설 방송 나온 KBS아나운서
- 이재영·다영 모친이 받은 '장한 어버이상' 취소···과거 집단체벌 논란
- "연경언니와 메달 따겠다" 이재영·다영 학폭으로 끝난 국대 꿈
- 엘리베이터서 중요부위 노출한 그 남자, 배민 배달기사였다
- 친모가 버린 3세...아랫집 외조부모 살았는데, 죽음 왜 몰랐나
- 아스트라, 65세 미만부터 우선 접종…고령층은 3월말 판단
- 센터가 누구야? 걸그룹 메인얼굴 사라지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