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살아난 후쿠시마 사고 악몽..추가 여진에 원전 손상 우려

천권필 2021. 2. 14. 18: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염수 저장 탱크가 쌓여 있는 후쿠시마 원전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13일 일본 후쿠시마현 앞바다에서 발생한 강진이 후쿠시마 원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면서 10년 전에 발생한 방사능 유출 사고의 악몽이 되살아나고 있다. 이번 지진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여진이 계속될 경우 원전 구조물이 손상돼 방사능이 유출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본 기상청에 따르면 13일 밤 11시 7분쯤 일본 후쿠시마 인근 센다이 남동쪽 103㎞ 해역에서 규모 7.3의 지진이 발생했다. 일본 기상청은 진원의 위치로 볼 때 이번 지진이 2011년에 발생한 규모 9.0의 동일본대지진의 여진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지진은 후쿠시마 원전에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지진의 흔들림으로 인해 후쿠시마 제1 원전의 원자로 건물 상부에 있는 사용 후 연료 수조(풀) 등에서 소량의 물이 넘쳤다. 원자력규제청은 “넘친 물의 양이 적고 방사선량도 낮아 안전상의 문제는 없다”고 밝혔다. 후쿠시마 원전을 운영하는 도쿄전력도 “후쿠시마 원전에 이상은 없다. 원전 주변 방사능 수치에도 변화가 없다”고 했다.


“규모 8 이상의 여진도 가능…구조물 손상 우려”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에 오염수를 담아둔 대형 물탱크가 늘어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후쿠시마 제1 원전은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때 최악의 폭발 사고가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도 피해 복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대지진 당시 원자로 1∼4호기의 전력 공급이 끊기면서 핵연료가 녹아내리는 멜트다운(노심용융)과 함께 수소 폭발 등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유출됐다. 5·6호기는 냉각 장치 기능이 유지된 덕에 폭발 사고를 피했지만 이후 폐로(廢爐) 조치됐다.

문제는 사고로 손상된 원자로 내부에 여전히 용융된 핵연료가 남아있다는 것이다. 도쿄전력은 이를 냉각하기 위해 하루에 수 톤의 냉각수를 계속해서 펌프로 주입하고 있고, 이는 고스란히 오염수가 돼 탱크에 보관된다. 도쿄전력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으로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는 1000개가 넘는 탱크에 123만t의 오염수가 저장돼 있다. 아직까지 지진으로 인한 오염수 유출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진 전문가들은 해당 지역에서 추가적인 여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오염수 저장고 등 원전 시설이 손상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동일본 대지진의 효과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규모 8이 넘는 여진도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며 “계속된 지진으로 피로가 누적된 상황에서 추가적인 지진 충격이 가해지면 구조물이 예상보다 쉽게 무너질 수 있기 때문에 방사능 유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태풍 때도 방사성 폐기물 유실

2019년 제19호 태풍 ‘하기비스’로 인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 제거 과정에서 수거한 방사성 폐기물 자루가 유실됐다. EPA=연합

앞서 태풍 등 대형 재난이 발생할 때마다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유출 우려는 꾸준히 제기돼 왔다. 2019년 태풍 ‘하기비스’가 일본 열도를 강타했을 때에도 원전 사고로 생긴 방사성 폐기물이 인근 하천으로 유실되는 사고가 벌어지기도 했다.

국제 환경단체인 그린피스는 당시 보고서에서 “태풍 하기비스의 영향으로 방사선량이 주변보다 수배 이상 높은 곳(핫스폿)이 다수 발견됐다”며 “비가 많이 내리면서 숲에서 방사능을 포함한 진흙이 붙은 나뭇잎과 나뭇가지가 흘러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지진이 원전의 안전에 미칠 여파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부는 후쿠시마 현지에 조사팀을 파견했으며, 지진 발생에 따른 피해 여부를 계속 확인하며 쓰나미 위험 가능성 등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