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놈의 팬데믹 언제 끝나냐"..코로나19 심리적 방역도 '초비상'

김봉수 2021. 2. 12. 06: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고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면서 실천해라."

지난해 2월23일 정부가 코로나19 대응 단계를 '심각' 단계로 격상한 후 1년이 다 되어가고 있다.

한 조사 결과 감염 환자들의 경우 43% 가량이 우울증을 보이고 있으며, 일반인들도 사회적ㆍ심리적 스트레스가 심해지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설 연휴를 하루 앞둔 10일 서울 경부고속도로 부산 방면 만남의광장 휴게소에서 시민들이 무인 식권 발매기로 도시락을 주문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오늘부터 설 연휴가 끝나는 14일 5일간을 '설 특별교통대책기간'으로 정해 코로나19 방역을 강화한다. 고속도로 휴게소의 매장 내 식사가 금지되고 포장만 허용된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고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면서 실천해라."

지난해 2월23일 정부가 코로나19 대응 단계를 '심각' 단계로 격상한 후 1년이 다 되어가고 있다. "몇개월이면 끝나겠지"라던 기대와 달리 1년 이상 장기화되고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등 초강력 방역 조치가 계속되면서 국민들도 우울과 불안, 피로감 등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연된 자살' 등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후폭풍을 우려하면서 코로나19 방역과 함께 개인ㆍ사회의 심리적 방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12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발간한 '과학과 기술' 최근호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라 정신 증상을 호소하는 이들이 급증하고 있다. 한 조사 결과 감염 환자들의 경우 43% 가량이 우울증을 보이고 있으며, 일반인들도 사회적ㆍ심리적 스트레스가 심해지고 있다. 경기연구원의 조사 결과 우울ㆍ불안을 느끼는 경우가 45%나 되며, 특히 여성, 40세 이하, 만성 질환자, 무직, 학생 등 사회적 약자 계층과 의료진들도 불안ㆍ두통ㆍ목의 통증, 피로감, 불면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의 조사에서 전국 우울 평균은 지난해 3월 5.10점에서 9월 5.86점으로 증가했다. 2018년 평균 2.34점에 비해 두 배 이상 급증했다.

문제는 '코로나19' 이후가 더 심각할 것이라는 점이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들은 코로나19라는 미증유의 공중 보건 위기 속에서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만 자살률은 오히려 낮아지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9월까지 국내 자살자 수는 총 7723명으로 전년 동기(8188명)에 비해 오히려 5.7%나 줄었다. 영국(30% 감소), 일본(13.5%감소)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심리적 방역 성공 혹은 예상보다 코로나19로인한 심리적 고통이 심각하지 않았던 것 등이 아니라 '지연된 자살'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극심한 재난이 발생할 경우 초기엔 일시적으로 자살률이 감소하지만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급증세를 보일 것이라는 의미다. 실제 2005년 미 남동부 허리케인 카트리나, 2011년 일본 동북부 대지진, 2013년 홍콩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등 최근의 초대형 재해때마다 초기엔 자살률이 감소했다가 일정 시간 후 급증하는 양상을 보인 바 있다. 특히 청년ㆍ여성이 위험하다. 여성의 경우 지난해 3~9월 2440명을 기록해 전년 동기(2290명)보다 늘어났다. 반면 남성은 같은 기간 동안 5898명에서 5283명으로 되레 줄었다.

이에 정부와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방역 만큼이나 정신 건강을 위한 심리적 방역의 필요성도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 변화된 일상 받아 들이기 ▲ 지나친 걱정 말고 방역 지침 시행 ▲규칙적인 생활 ▲취미나 여가 시간 갖기 ▲걷기 등 규칙적 신체활동 ▲가족ㆍ친구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심리적 방역을 위한 핵심 지침으로 내세우고 있다. 만약 우울ㆍ불안감 등을 이겨내지 못할 경우 전문가ㆍ의료진과 상담해 국가트라우마센터 등이 진행하는 치유프로그램 등에 참여해 도움을 요청하는 게 좋다.

이동우 인제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과학과 기술' 기고문을 통해 "국민 개인들은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필요한 도움을 받는 게 중요하다"면서 "정부의 위기 대응 능력과 소통 능력의 업그레드가 필요하며, 정부가 제공 중인 다양한 서비스ㆍ민간의료 서비스간 의뢰ㆍ연계 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실직ㆍ폐업 위기에 놓인 피해자들을 위한 심리 외적인 대책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