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을 기다린 동탄 트램 "가야 할 길 멀다"
[화성시민신문 윤 미]
▲ 지난해 12월 9일 경기도가 주관한 동탄도시철도 기본계획안 주민공청회장 앞에서 동탄2신도시 주민이 현수막을 들고 서있다. |
ⓒ 화성시민신문 |
동탄 2신도시 주민에게 트램 정거장 위치는 뜨거운 이슈다. 공청회장과 라이브 톡에는 실시간으로 정류장 안건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뤘다.
그중 뜨거운 감자는 306-307번 정류장 변경안과 원안 사수, 204번 205번 정거장, 106번 정거장 등이다.
기본계획안 노선도 수립단계에 주민의견을 제시하지 못한 주민의 민원도 크다.
김민수 남해오네뜨 더 테라스 입자주대표회의 회장은 "교통 분담금을 우리도 냈지만 입주가 늦어진 관계로 노선이 확정될 때 주민의견을 낼 수도 없던 상황이다"라며 "우리도 광역개선분담금을 낸 만큼의 주주 아닌가. 우리 의견도 충분히 반영해 달라"고 성토했다.
문화디자인 밸리와 신거주 문화타운은 트램노선이 없는 유일한 구간이다. 이들은 오산천 구간으로 지나는 트램정거장의 실효성을 다시 재고해 계획안에 반영해 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204번과 205번 정거장 관련 논란은 인구수 대비 정거장 간 거리가 넓기 때문에 정거장 재조정이 필요하다는 민원도 제기되고 있다.
▲ 지난해 12월 9일 열린 동탄 도시철도 기본 계획안 공청회장에서 전문가 토론이 이어졌다. |
ⓒ 화성시민신문 |
전문가들은 전국에 유례가 없을 만큼 장거리의 대규모 사업인 만큼 졸속 추진보다 지속가능한 대안을 마련하며 추진해야 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고준영 서울대 교수는 "동탄2신도시의 트램 선로가 일반 승용차와 혼용차로로 운영되는 만큼 안전 문제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재무적 측면에서 용인 경전철 경우 초기 투자 비용만 1조가 넘었지만 현재 이용객의 수나 운영비는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부분을 지적했다. 이에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 마련이 철저히 이뤄져야한다"고 덧붙였다.
이규진 아주대 교수는 "동탄 트램 경우 국고 사업이 아닌 광역교통개선부담금과 지자체 재원으로 진행되는 만큼 철도망과 버스망도 동시에 갖춰서 적자 부분이 흑자로 전환되야 할 것"을 조언했다. 아울러 정거장 논의 같은 첨예한 민원은 유연한 방향성으로 설계나 운영 플렛폼을 확정할 것을 제안했다.
화성시, 광역교통대선사업 의무 수행
동탄2신도시 주민의 민원에 대해 화성시청 철도트램과는 광역개선대책사업을 하는 사업자 측에서 분담하는 것의 의무 수행이지, 주민 개개인의 분담금에 따른 권한이 따로 있지는 않다는 입장이다.
동탄 2트램은 오산역을 시작으로 망포역까지 연결하는 1호선 16.4km 노선과, 병점역과 동탄2신도시를 연결하는 2호선 17.8km이 사업으로 진행된다. 총 예산은 1조원 규모대로 전국에서 가장 큰 사업비가 투입된다.
화성시는 이후 운영 부담금으로 연 200에서 300억 원 규모가 매년 들어갈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마저도 아직 기술적인 부분과 트램철도 시스템이 확정된 게 아니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은 수치나, 적자가 될 확률이 높다.
현재 추후 비용부담은 화성시와 오산시, 수원시가 나눠서 부담하게 된다.
10년을 기다린 동탄 트램, 경기도는 지난 1월 22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에 승인을 신청했으나 승인 이후부터가 시작이다. 승인 이후 기본실시 설계가 들어가고 2027년 개통을 목표로 2023년 착공할 수 있다. 설계와 건설 운영은 화성시가 주관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화성시민신문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