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신님, 단군님.." 그 많던 성황당은 어디로 갔을까
세종 "요사한 귀신" 신상파괴 시초
“나는 이 나라 어디에도, 혹은 서울 내의 어디에도 우상이나 우상을 모신 사원을 볼 수 없다는 사실이 흥미로웠고 놀라웠다. 사람들은 우상에 대한 애정을 갖고 있지 않은 것 같았고, 신들을 위한 사원을 세우지 않는 것 같았다.”
1885년 서울을 방문한 성공회 선교사 J. R. 울프가 남긴 기록의 일부다. 서양인들의 눈에 ‘이방 종교’의 전형적 특징인 ‘우상’이 보이지 않는 것이 기이했던 것. 그런데 고려 때 송나라 사신 서긍의 기록은 조금 다르다.
“저녁이 되면 남녀가 무리 지어 노래 부르며 즐기고 귀신, 사직, 영성에 제사 지내기를 좋아한다… (개경) 태화문 안에 있는 복원관에는 삼청상(옥황상제·노자·장자)이 그려져 있는데, 노자의 수염과 머리털이 다 감색이라…” (『고려도경』)
이에 따르면 수도 개경에는 크고 작은 불교와 도교의 사원이 가득했고, 고구려 시조 주몽의 어머니인 동신성모(東神聖母)의 목제 신상을 모신 사당도 있었다. 국가에선 전국의 산신에게 공(公)·후(侯)·백(伯) 같은 작호를 내리고 제사도 지냈다. 중국, 일본에는 지금도 공자의 조각상, 각종 지역신을 모신 사당과 신사가 있다.
최근 출간된 『무당과 유생의 대결-조선의 성상파괴와 종교개혁』의 저자 한승훈 원광대 동북아인문사회연구소 연구교수는 조선 중반 성리학 질서의 강화, 사대부들의 무속 퇴치와 성상파괴운동을 성상 문화 변화의 배경으로 꼽았다. 7일 한 교수를 인터뷰했다.
Q : 지금 다양한 전통 신상은 볼 수 없는데.
A : “고려말부터 성리학을 공부하는 유생 중심으로 성상반대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조선 전기, 한양에선 신상을 두지 않더라도 개성 같은 곳은 용인해줬다. 그런데 사림이 정권을 잡는 조선 중기부터 달라졌다. 1566년엔 100여명의 유생이 송악산 월정당이나 최영 장군을 모시는 덕정당까지 불태웠다. 또 나무 신상을 낭떠러지 아래로 떨어뜨렸다. 세종의 역할도 컸다.
Q : 세종이 신상파괴운동의 시초란 건가.
A : "세종도 어머니 원경왕후가 학질에 걸리자 송악산, 백악산 등의 산신과 성황신에게 기도 올리고, 북두칠성에 제사도 지냈다. 효도 차원이었다. 자신은 신상 파괴와 산신에게 내려진 작호를 박탈하려는 의지가 강했다. 인격화된 신들의 가족을 “요사한 귀신”이라고 했고, 1430년(세종 1년)엔 ‘각도산천단묘순심별감’이라는 위원회를 둬 각지의 성황신 등을 조사하고 개혁안을 제출하게 했다. 이성계 가문이 출발한 영흥에는 ‘성황계국백지신’이라고 불린 성황신과 남녀 신상 6개가 있었는데 개혁안에 따라 모두 철거됐다.”
Q : 신상 파괴 뒤 대체는.
A : "신상 숭배는 사이비라고 봤고, 신상 대신 신주(神主)로 대체했다. 규격도 표준화했다. 밤나무 재질로 만들어, 흰 바탕에 검은 글씨로 신의 이름만 표기했다. 단군이나 기자에게 붙은 ‘조선후(朝鮮侯)’ 같은 작호도 뺐다. 서구에서 가톨릭에 대항한 프로테스탄트 운동과도 비슷하다. 당시 국제적 환경도 영향을 줬다. 명나라를 건국한 세력도 ‘몽골의 잔재’라면서 수도 남경에서 신상을 없앴다. 명나라에선 일시적인 현상이었는데, 조선에선 수백 년간 이어졌다.”
Q : 기독교든 성리학이든 한국에 들어오면 본토보다 더 교조적·원리주의적으로 강경해진다는 말도 있다.
A : "그런 측면이 있다. 기독교 근본주의적 운동도 서구에선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반짝했는데, 한국에선 오래 유지됐다. 혹자는 융통성 없고 과격한 민족성에서 찾기도 하지만, 사실은 ‘주변부 의식’ 차원 같다. 중심부에서 멀어져 있지만, 오히려 정통을 가장 순수하게 지키려고 하는 현상이다.”
Q : 무속은 지금까지 살아남았다.
A : "지방 수령들은 무당을 탄압했다. 야사에서 지방 수령이 귀신을 보고 놀라 죽는 등 얘기가 전해지는 건 지방에서 벌어진 유생과 무당의 대결, 그리고 무속이 살아남은 과정을 반영한다. 어느 문화에나 종교적 수요가 있다. 복을 바라고 재앙을 회피하려는 기복양재(祈福禳災), 성인이 되고자 하는 구도(求道), 또는 비를 바라는 기우(祈雨)도 있다. 유교가 구도, 기우제 등은 흡수했지만 기복양재를 대체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임성근 탄핵내몬 김명수, 본인 인준땐 임성근에 로비시켰다
- 美와 조율했단 유명희 사퇴, 본인 원했는데 靑이 극구 말렸다
- 윤정희 동생들 패소 석달 뒤…“치매 배우 방치” 청원 올라와
- "관광객 '개불' 싹쓸이"···갯벌 어슬렁대는 '빠라뽕'의 정체
- [단독]"소련 이후 최대 성과" 러 백신, 녹십자서도 만든다
- [단독] 문 대통령 탈원전 선포날, 한수원은 500억 소송보험 들었다
- 코로나가 바꾼 설 상차림···며느리 "계탔다" 상인들 "속탄다"
- 3살 아이에 매일 물 7컵 욱여넣은 교사···의사협 "살인미수"
- 유명 女배구선수, 숙소서 쓰러진 채 발견…병원서 치료중
- 해발 7800m서 쏟아진 빙하, 댐 강타…인도서 150여명 실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