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판 흔들어야 한다" 민노총 '11월 총파업' 의결

조민영 2021. 2. 5. 20: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올해 11월 110만명의 전 조합원이 참여하는 대규모 총파업에 나서기로 의결했다.

민주노총은 5일 정기 대의원 대회를 열어 11월 총파업을 포함한 올해 사업계획을 의결했다.

대의원 대회는 조합원 500명당 1명꼴로 선출된 대의원으로 구성되는 의결 기구로, 민주노총은 매년 초 정기 대의원 대회에서 그해 사업계획을 확정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기 대의원대회, 11월 총파업 등 올해 사업계획 의결
"파업은 수단..총파업 목표되면 안돼" 등 내부 비판도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5일 오후 서울 마포구 웨스트브릿지 with KT 5G에서 열린 민주노총 정기대의원대회에서 개회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올해 11월 110만명의 전 조합원이 참여하는 대규모 총파업에 나서기로 의결했다. 11월 중 한날, 한 시에 전 조합원이 일손을 놓는다는 계획이다.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영향력을 최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준비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내부에서조차 총파업의 당위성과 현실성에 대한 의문 등이 제기돼 과정이 순탄치는 않을 전망이다.

민주노총은 5일 정기 대의원 대회를 열어 11월 총파업을 포함한 올해 사업계획을 의결했다. 대의원 대회는 조합원 500명당 1명꼴로 선출된 대의원으로 구성되는 의결 기구로, 민주노총은 매년 초 정기 대의원 대회에서 그해 사업계획을 확정한다.

이번 대의원 대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전국 40개 회의장을 연결한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됐다.

민주노총은 사업계획에서 ‘110만 총파업 투쟁’을 첫째 목표로 꼽고 “1년을 준비하는 투쟁”이라며 “총파업 성사를 위해 전 조직적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이같이 의결한 이유로 “한국 사회의 근본적 문제 해결을 위한 투쟁이 절실하다”며 “2022년 대선을 앞둔 시기에 대선판을 흔들 수 있는 투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에 대해서는 “개혁적 노동정책을 포기하고 ‘혁신 경제’를 앞세운 친(親)재벌 정책으로 돌아섰으며 경제 위기 상황에서 이런 경향은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다음 달 총파업 세부 계획을 확정해 4월까지 1만명의 총파업 실천단을 꾸리고 6월에는 비정규직 노동자 총력 투쟁을 조직함으로써 대정부 투쟁 분위기를 끌어올린다는 세부 계획도 밝혔다.

그러나 일부 대의원들은 이 같은 총파업 계획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냈다.

한 대의원은 “(사업계획을 볼 때)110만명의 총파업이 목표인 것 같다”며 “파업은 수단이 돼야지, 목표가 돼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한날, 한시에 총파업이 가능하냐 하는 부분이 전반적으로 검토돼야 한다”면서 “총파업에는 동의해도 한날, 한시라는 부분이 실제로 (마음에) 걸린다”는 지적도 나왔다.

일부 대의원은 올해 사업계획의 구체성이 부족하다며 사업계획을 새로 세워 임시 대의원대회에 상정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민주노총의 올해 사업계획에는 노동절인 5월 1일 자체 방송국 설립 계획도 포함됐다.

민주노총은 올해 안으로 유튜브 구독자 30만명을 확보하고 현 집행부 임기 마지막 해인 2023년까지 이를 100만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 특성화고 등 직업계고와 2년제 전문대 학생 등을 대상으로 노조 홍보 활동을 벌여 예비 노동자인 청년을 대거 민주노총 조합원으로 조직하는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대의원대회에서 민주노총 조합원 수는 작년 말 기준으로 103만5162명으로 보고됐다. 이는 전년(98만7777명)보다 4.8% 증가한 규모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