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가 오른 송전탑에 얽힌 '무서운' 진실

장혜령 2021. 2. 3. 1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리뷰] 영화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 , 포기하지 않고 버티는 삶에 대하여

[장혜령 기자]

   
 영화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 포스터
ⓒ 영화사 진진
   
이 영화의 상황들은 누군가의 아빠, 누군가의 귀한 자식의 이야기와 겹쳐진다. 실화라고 해도 믿을 만한 우리 사회의 여러 사건·사고를 종합해 놓았다고 해도 좋다. 뉴스에서 잊을만하면 오르내리는 하청 노동자들의 비극적인 처우와 죽음을 마주할 때마다 넋을 위로하기에도 지친다. 왜 이런 일이 자주 일어나는 걸까. 그리고 끊이지 않는 걸까. 

코피 터져라 공부하고 하고 싶은 거 참았던 취업 전쟁에서 승리했다는 쟁취감도 잠시. 7년간 몸담았던 회사는 정은(유다인)을 헌신짝처럼 버렸다. 알 수 없는 권고사직이다. 처음에는 사무실에서 탕비실로 책상이 옮겨졌고, 버텨내자 하청 업체로 파견 명령을 받았다. 대체 무엇을 잘못한 걸까. 명확한 이유라도 있다면 조금은 수월했을 것이다. 하지만 답을 찾는 시간보다 1년을 버티는 시간이 나을 거란 생각을 했다. 정은은 반드시 1년을 채워 원청으로 돌아가려 한다. 

하청업체는 그야말로 현장 그 자체였다. 컨테이너 박스로 대충 지은 가건물에는 각종 자재와 휴식을 취할 의자 몇 개 정도가 다였고, 기술도 없는 사무직 정은에게 허락된 책상은 존재하지 않았다. 정은은 첫날 출근해 당당히 책상을 요구하지만 정은이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그렇게 며칠을 보내고 무엇이라도 해보려는 요량으로 관리 감독표를 만들려고 했다. 그러자 사람들은 정은을 매우 불편해했고, 긁어 부스럼인 통에 눈엣가시가 되어버렸다.

더는 이렇게 1년을 버틸 수 없는 정은은 퇴근 후 남아 기술을 익혔다. 그러다가 편의점, 대리운전 등 투잡 쓰리잡을 뛰며 아내 없이 딸 셋을 키우는 가장 막내(오정새)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는 유일하게 정은에게 마음을 열고 도와주는 직원이다. 모두가 밀어내기 바쁠 때 더 어려운 사람이 먼저 손을 내밀어 주는 격이었다.
 
 영화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스틸
ⓒ 영화사 진진
 
하청업체란 원청의 갑질에도 묵묵히 따라야 한다. 을이 될 수밖에 없다. 정해진 인건비 앞에서 누구 하나 옷 벗어야 끝난다는 소장(김상규)의 채근에도 저 위에서는 믿을 것은 동료밖에 없다며 연대를 말했던 사람이다. 정은은 차츰 막내와 친해지며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간다. 하지만 위기는 또다시 찾아오게 마련이다.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라는 결의에 찬 제목의 영화는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영화를 보면서 켄 로치, 다르덴 형제 감독의 영화가 떠오른다. 극영화임에도 다큐멘터리 같은 사실적인 결이 느껴지는 이유에서다.

하청업체 직원의 고군분투와 신자유주의의 폐해는 <미안해요, 리키>가 동료 간, 노조 간 입장 차이를 다룬 점에서는 <내일을 위한 시간>이 떠올랐다. 둘 다 내가 살려고 버티면 누구 하나가 나가 떨어져야 하는 구조다. 현대 사회에서 해고란 일자리를 잃은 상황 하나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당장 생계와 미래를 저당 잡히는 것이고 급기야 정체성까지 흔들리게 된다.

정은이 위협적인 송전탑 위를 오르는 이유는 죽는 것보다 해고가 두렵기 때문이다. 부모, 동료, 회사가 나를 해고해도 자신만은 해고하지 않을 권리를 갖고 있다는 의지가 고소공포증을 극복하고 송전탑에 오른 정은을 통해 오롯이 전달된다.
 
 영화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 스틸컷
ⓒ 영화사 진진
 
우리가 웃고 떠들고 일상을 보내고 있을 때도 지하철, 엘리베이터, 송전탑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음을 떠올렸다. 현대인의 편리함에는 목숨을 걸고 환경을 거스르는 특수노동자의 이중성이 가려져 있다. 이들의 노고가 있어 시민의 발 지하철이 움직이고, 위아래를 오르내리기 편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며, 오지 마을까지 전기가 들어와 환하고 따뜻함을 선사한다.

하지만 그냥 떠올려 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근본을 개선하지 않고서는 계속해서 하청의 또 다른 하청, 파견직, 일용직의 부당함은 이어질 것이다.  사람 목숨보다 중요하다는 게 없다고 겉으로는 말하지만, 당장 해고가 나의 일이 될 때 상황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는 점이 슬프면서도 아프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