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티파이와 디즈니플러스를 맞이하는 한국의 자세

박민지 2021. 2. 2. 13: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티파이, 2일부터 국내 서비스 개시.. 무료 스트리밍 없이 유료 회원제로
디즈니플러스 상륙도 곧

콘텐츠 플랫폼 경쟁이 올해 더 달아오를 전망이다. ‘음원계의 넷플릭스’ 스포티파이가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고,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신흥 강자 디즈니플러스도 곧 상륙한다. 해외 플랫폼에 잠식되지 않도록 국내 업계도 필사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스포티파이 홈페이지 캡처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각축전 시작
세계 최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가 2일 국내 서비스를 기습 개시했다. 2006년 스웨덴에서 설립돼 92개국에 6000만곡 이상을 제공하고 있는 거대 플랫폼으로, 회원 수는 약 3억2000만명(유료 1억4000만명)이 넘는다.

강점은 방대한 빅데이터 기반의 추천 기능이다. ‘나만의 재생목록’이라는 개념을 처음 도입했다. 국내에는 인기·장르·테마·아티스트별로 세분화한 서비스가 제공된다.

수익 모델은 유튜브와 비슷하다. 광고가 포함된 무료 스트리밍과 광고 없는 유료 스트리밍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국내 버전은 유료회원제로만 운영한다. 스포티파이가 공룡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다운로드가 일반적이었던 음원 시장에 스트리밍 모델을 제시했기 때문인데, 한국은 이미 유료 스트리밍 문화가 자리 잡은 상황이라 국내 시장의 성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스포티파이 홈페이지 캡처

대신 가입 후 3개월 무료 쿠폰이 지급된다. 요금제는 1인용(월 1만1990원)과 2인용(월 1만7985원)이 있다. 6인용이 월 14.99 달러(1만6766원)인 미국에 비해 비싸다.

성패는 음원 확보에서 갈릴 예정이다. 아직 스포티파이는 멜론을 소유한 국내 최대 음원 유통사인 카카오M과 협의를 마치지 못했다. 카카오M 계열 아티스트는 아이유, 에이핑크 등이 있다. 제휴 소속사인 FNC, 큐브, DSP, 울림 등 음원도 없다. 2016년 들어온 애플뮤직도 국내 음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 아직 시장에 제대로 정착하지 못했다.

스포티파이 홈페이지 캡처

스포티파이가 오로지 음원 시장을 노리고 한국에 들어온 것은 아니라는 의견도 나온다. 종합 엔터테인먼트사로 몸집을 키울 계획을 갖고 있어 K팝 신드롬을 일으킨 한국 시장 분석의 필요성을 느꼈다는 얘기다. 국내 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한국 음악 시장은 세계 6위 규모”라며 “국내 아티스트 및 소속사와 관계를 다지고, 한국 시장을 알아보려는 의도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음원 플랫폼들은 분주하다. 스포티파이의 성공 방식을 벤치마킹해 음원 차트를 제시하는 일방향적 운영이 아닌 소비자 취향을 고려해 유연한 플랫폼으로 변화하고 있다.

디즈니플러스 홈페이지 캡처
‘공룡’ 디즈니의 등장… 콘텐츠 앞세워 돌진
월트디즈니의 OTT인 디즈니플러스도 곧 국내에 들어온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킹덤’ 시리즈를 시작으로 K콘텐츠가 넷플릭스에서 큰 성공을 거두자 한국을 물망에 올렸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북미 시장은 OTT 경쟁 과열 탓에 무료 서비스가 과부하 돼 오히려 유료 가입자가 줄고 있다”며 “반면 아태지역 넷플릭스 유료 가입자는 증가 추세라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경쟁력은 ‘콘텐츠 왕국’ 월트디즈니의 작품들이다. 마블·스타워즈 시리즈, 디즈니·픽사 영화 등과 계열사까지 합하면 오리지널 콘텐츠만 8000편이 넘는다. 넷플릭스의 경우 1000편 정도다. 성인용 콘텐츠를 앞세우는 넷플릭스와는 타깃층도 확연히 구분된다. 구독료도 저렴하다. 디즈니플러스 월 구독료는 6.99달러(약 7800원)다. 넷플릭스 베이직 요금제는 9500원이다.

디즈니플러스는 2019년 11월 북미 지역에서 서비스를 시작해 현재 30여개국에 진출했다. 1년 만에 1억명이 넘는 구독자를 유치했는데, 넷플릭스 절반이다. 넷플릭스의 노하우가 1998년부터 축적된 점을 고려하면 디즈니플러스의 빠른 성장 속도는 매우 빠르다. 업계 관계자는 “넷플릭스 국내 점유율을 가져올 수 있는 OTT는 디즈니플러스가 유일하다”고 말했다.

국내 OTT 업계는 초비상이다. 디즈니플러스가 한국 정착에 성공한다면 애플TV와 HBO Max도 눈독 들일 가능성이 크다. 경쟁력 있는 콘텐츠 확보가 관건이다. 한국 시청자는 국내 콘텐츠 선호도가 높아 장기적으로 국내 OTT가 승산있다는 의견이 나오는 만큼,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유수 콘텐츠가 OTT에 수시로 쏟아지는 것이 아니라, 인기작을 모두 시청하면 결국 국내 콘텐츠로 시선을 옮기게 된다”며 “국내 콘텐츠 수급에 우선권을 지닌 국내 OTT가 공격적으로 콘텐츠를 유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가장 중요한 건 오리지널 콘텐츠”라며 “제작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해외 플랫폼 종속 우려는 계속
세계적인 플랫폼이 한국에 상륙할 때마다 K콘텐츠 브랜드 가치는 껑충 뛴다. 플랫폼 간 경쟁이 활발해지면 소비자에게 더 나은 상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하지만 국내 유통 시장이 해외 플랫폼에 종속될 우려는 높아진다. 현재 먹이사슬 최상단에 선 넷플릭스의 기세에 국내 OTT가 맥을 못 추고 있는 상황이 대표적이다.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특정 해외 플랫폼 독주 체제가 지속한다면 국내 콘텐츠 업계 잠식 우려가 매우 크다”며 “소비자·콘텐츠 중심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