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가시게요? 제가 백련사 가이드 해드립니다
[서부원 기자]
시간의 소중함을 꼬집는 금언은 많다. 흐르는 시간은 붙잡을 수 없다. 시간은 금이고, 금 중에 가장 비싼 금은 지금이라고도 한다. 결국, 금쪽같은 시간 아껴 쓰라는 뜻이다. 모두에게 똑같이 주어진 시간의 가치와 쓰임새가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거다.
▲ 제2경 만경루에서 본 풍경 저 멀리 강진만이 보인다, 그 너머에 고려청자 가마터가 있다. |
ⓒ 서부원 |
산사의 시간은 느리게 간다. 걸음에 맞춰 시계의 초침이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그래서일까. 절 곳곳에 '경내에서는 뛰지 말라'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말도 아껴야 한다. 말이 많거나 떠들면 시간도 덩달아 쏜살같이 흐를 것이다.
며칠째 종일 경내를 돌았다. 스님들의 개인 공간과 공양간의 주방을 제외하곤 안 가본 곳이 없다. 법당 안 불상 수와 자세, 바깥벽에 그려진 그림과 글자 등을 마치 영어 단어장 암기하듯 보고 또 보았다. 궁금한 점은 종무소에 가서 도움을 청하기도 했다.
비탈진 곳이라 절터도 좁고, 법당이라고 해 봐야 누마루 건물까지 포함해 다섯 채에 불과하다. 범종각과 사적비각, 템플스테이를 위한 요사채까지 모두 합해도 열 채 남짓이다. 더욱이 건물의 크기도 작은 데다 다닥다닥 붙어 있어 더 좁아 보인다.
방에 앉아 책을 읽다가 다리가 저리면 쉴 겸 경내를 돌았고, 글을 쓰다가 적절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때 다시 경내를 돌았다. 공양간이 맨 가장자리에 있어 끼니때도 매번 경내를 돌아야 했다. 이젠 돌계단이든 굽잇길이든 눈 감고도 찾아갈 수 있다.
간만에 햇볕 따사롭던 오후, 누마루에 걸터앉아 소일했다. 숲 바람 소리, 새소리, 풍경소리 등이 오후의 나른함을 깨웠다. 소리는 귀로만 듣는 게 아니라 눈으로도 볼 수 있고 감촉으로도 느낄 수 있다는 어느 시인의 말이 거짓이 아님을 깨닫게 된다.
누마루 아래로 등산복 차림의 몇몇 관광객들이 지나갔다. 코로나 탓인지 절을 찾는 이들이 거의 없어 그들에게 뭐라도 챙겨주고 싶을 만큼 반갑다. 무슨 인연으로 여기 왔을까. 그들은 뭘 보고 뭘 가슴에 담아갈까. 괜히 다가가 말을 걸어보고 싶어진다.
그들은 안마당에 올라 앞뒤로 대웅보전과 만경루를 한 번 훑더니 되돌아갔다. 한 시간쯤 뒤에 온 중년의 관광객들도, 이어서 온 신혼부부로 보이는 두 젊은이도 약속이라도 한 듯 똑같았다. 곁에 세워진 안내판조차 읽지 않고, 사진 한 장 찍은 뒤 서둘러 절을 내려갔다.
조금만 여유를 갖고 찬찬히 뜯어보면 제법 볼 만한 게 많은데, 도리어 내가 조바심이 난다. 이래 봬도 백련사라며, 그들의 손목을 붙잡고만 싶다. 잠시 스마트폰을 끄고 느리게 가는 산사의 시간에 발걸음을 맞추면, 곳곳이 볼거리고 이야깃거리라는 걸 그들은 모른다.
절이 내 집인 양 친숙해지다 보니,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꼭 보여주고 싶은 풍경들이 눈에 들어왔다. 모두가 넘어지면 코 닿을 만큼 가까워 발품을 팔 필요도 없다. 대충 헤아려보니 여덟 곳쯤 된다. 나만의 '백련팔경(白蓮八景)'이라고나 할까.
제1경은 이전 산중일기에 이미 적었다. 원교 이광사의 동국진체 현판 글씨 석 점. 마치 살아 움직이는 듯 떨리는 그의 필체를 알현하는 것으로부터 백련사 여행은 시작된다고 적었다. 서예에 관심이 많은 관광객 중엔 이광사의 글씨만 좇아가는 이들도 많다고 한다. (관련기사 : 잠 못 드는 도시를 떠나 이곳으로 왔습니다)
▲ 제3경 백련사 사적비 고려와 조선, 두 시대의 특징을 동시에 보여주는 독특한 비석이다. |
ⓒ 서부원 |
제3경은 몸돌과 받침돌, 머릿돌까지 완전하게 갖춘 백련사 사적비다. 이 비석은 보물 제1396호로 지정된, 경내 유일한 국가 지정 문화재다. 보존 상태가 양호할 뿐더러 제작자와 건립 연도까지 명확하게 밝히고 있어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건 따로 있다. 고려와 조선 두 시대의 유산을 동시에 품은 비석의 독특한 모습이다. 원래 고려 때 세워졌으나 몸돌과 머릿돌은 숱한 전란 중에 훼손되고 받침돌만 덩그러니 남았다. 지금 세워진 몸돌과 머릿돌은 조선 후기에 새로 만든 것이다.
▲ 제4경 '럭셔리 승탑' 주인을 알 수 없는 조선 후기의 승탑으로, 몸돌의 목걸이 문양이 독특하다. |
ⓒ 서부원 |
▲ 제5경 백련사 동백숲 천연기념물 제151호로 지정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울창한 동백숲이다. |
ⓒ 서부원 |
제5경은 절을 감싼 울창한 동백숲이다. 이미 천연기념물 제151호로 지정된 백련사의 상징이라 설명을 덧붙이면 사족이 될 것이다. 숲 안을 함부로 출입할 수도 없지만, 먼발치에서 봐도 경이롭다. 빽빽한 데다 잎마저 짙어 나뭇가지만 보면 하얀 자작나무로 오해할지도 모르겠다.
▲ 제6경 만덕산 야생차밭 만덕산 곳곳에 야생차가 자란다. 만덕산의 별칭이 다산인 이유다. |
ⓒ 서부원 |
제6경은 숨은 듯 감춘 듯 소담한 야생차밭이다. 흔히 차밭 하면 보성을 떠올리지만, 남해안 어디서든 차나무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백련사가 기댄 만덕산은 다산(茶山)이라는 별칭이 있을 만큼 차나무가 많다. 동백숲에 가려 드러나지 않을 뿐이다.
▲ 제7경 동백숲에서 올려다본 만덕산 짙푸른 동백숲으로 인해 바위로 된 만덕산 정상이 우람하게 보인다. |
ⓒ 서부원 |
제7경은 야생차밭에서 올려다본 동백숲과 만덕산의 풍경이다. 도화지 속 원근법처럼 동백숲의 초록과 만덕산의 하얀빛, 그리고 푸른 하늘이 차례로 시선을 잡아끈다. 고작 해발 409m의 만덕산이 히말라야의 준봉들 못지않게 높아 보이는 건 그 확연한 빛깔 차이 때문이다.
만덕산 정상이 바위가 아닌, 여느 남녘의 산처럼 숲으로 우거져 있었다면 밋밋해 보였을 것이다. 백련사 안마당에서는 볼 수 없는 풍경이다. 법당의 용마루가 가린 탓도 있지만, 설령 그 너머로 보였다 해도 산채의 위용은 느낄 수 없었을 것이다. 자연은 자연과 가장 잘 어울리는 법이다.
▲ 제8경 백련사 다방 카페가 아니라 주지 스님의 집무실 이름으로, 사람들과 이물없이 차담을 나눌 수 있는 공간이다. |
ⓒ 서부원 |
백련사의 다방은 카페가 아니다. 주지 스님의 집무실 이름이다. 절을 찾아온 외부인과 차담을 나누는 상담실 기능도 하고 있다. 만약 여느 곳처럼 불교 교리를 담은 이름을 내걸거나, 집무실 또는 상담실로 문패를 달았다면, 왠지 문 앞에서 옷깃을 여며야 했을 것 같다.
카페 대신 다방을 차려 문턱을 낮춘 스님의 자상한 마음 씀씀이가 정겹고 고맙다. 그러고 보면, 종무소 직원분들도, 공양간의 아주머님들도 하나같이 친절하고 상냥하다. 스치듯 지나쳤다면 느끼지 못했을 산사의 아름다움이고, 사람들의 정이다.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
다시 경내를 거닐며, 나태주 시인의 시 <풀꽃>을 읊었다. 내 머릿속에 저절로 '백련팔경'이 정리된 것도, 자세히 보아 예뻤고, 오래 보아 사랑스러웠기 때문이다. 따지고 보면, 이 모두가 산사의 시간이 느리게 가는 까닭이다.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게 살짝 두렵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