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오픈뱅킹 주시하면 예적금 특판 잡는다
[아시아경제 송승섭 기자] 이르면 3월 시작될 저축은행 오픈뱅킹 서비스를 앞두고 예적금 특판 출시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가 시중은행보다 파격적인 금리 조건을 내걸고 새로운 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보이면서다.
저축은행, 고금리 상품으로 오픈뱅킹 고객 유인
30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SBIㆍOKㆍ웰컴ㆍ한국투자ㆍ페퍼 등 5대 저축은행 가운데 3곳 이상이 이르면 오는 3월 시작될 오픈뱅킹 서비스 시행을 앞두고 예적금 특판 상품 등 각종 프로모션을 준비 중이다.
구체적인 기간은 미정이지만 관련 상품은 대부분 오픈뱅킹 서비스 시작일과 비슷하게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업체의 경우 이르면 2주 내에 선제적으로 출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특판 상품의 금리는 통상 기존 이율에 1~2%포인트 높은 이율을 책정해왔던 것을 고려하면 5%를 넘지 않는 선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오픈뱅킹이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모든 계좌를 사용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은행의 송금·결제망을 표준화하고 개방화한 기술로 지난해말 기준 5900만명(중복)이 가입하고 9625만 계좌가 등록됐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저축은행들은 지난해 중순부터 오픈뱅킹 도입을 위해 자사 앱을 개편하고 보안역량을 강화하는 등 디지털 인프라를 정비해왔다. SBI저축은행은 지난해 11월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한 모바일뱅킹 플랫폼 ‘사이다뱅크 2.0’을 선보였고, 웰컴저축은행도 올 상반기 자사앱을 전폭 개편한 ‘웰뱅 3.0’을 출시할 예정이다. OK저축은행의 경우 지난달17일 차세대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LG CNS-뱅크웨어글로벌 컨소시엄과 함께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그럼에도 오픈뱅킹 출범과 함께 대대적인 프로모션을 준비하는 배경에는 시중은행을 추격해야 하는 후발주자로서의 처지가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증권사와 카드사도 오픈뱅킹에 참여할 예정이라 저축은행으로선 고객을 끌어 모을 유인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 시중은행들은 앱을 개편하고 각종 경품행사를 진행하는 등 기존의 오픈뱅킹 가입자를 지키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 카드사와 증권사 역시 간편결제 등 장점을 부각하는 마케팅에 나서고 있어 오픈뱅킹 시장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업계 "수신은 결국 금리"…효과 저조해도 손해볼 것 없어
업계는 여기에 저축은행의 높은 금리가 더해지면 초기고객 확보에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요즘 같은 초저금리 시대에 수신 영역은 결국 금리싸움"이라면서 "1%라도 이자를 더 받으려는 수요가 많아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른 관계자도 "금리가 높은 만큼 통장에 잠들어 있는 현금은 저축은행이 많이 끌어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들은 아울러 하루만 넣어도 이자를 받는 파킹통장(보통예금ㆍ저축예금ㆍ기업자유예금)에 대한 호응을 바탕으로 이들 상품을 주로 이용하는 2030세대의 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저축은행 파킹통장의 예금금리는 연 1.5~2.0% 사이로 시중은행이나 증권사 CMA 통장보다 높다. 주식 매매를 위한 자금을 잠시 보관하는 등의 용도로 입출금이 잦아 파킹통장 이용자가 오픈뱅킹 가입자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저축은행 업계는 이 같은 마케팅 전략이 당장 눈에 띄는 효과를 내지 못해도 크게 손해볼 건 없다는 입장이다. 저축은행 오픈뱅킹 가입자가 예상보다 저조해도 시중은행 앱을 통해 저축은행 계좌를 많이 트는 것 역시 이익이라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도 일부 저축은행은 앱이 불편하고 대중성도 낮은 게 사실"이라면서 "오픈뱅킹으로 시중은행에서 저축은행 계좌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 큰 비용 없이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저축은행도 대형업체 중심 '옥석가리기'
다만 모든 저축은행 업계가 오픈뱅킹으로 수혜를 입긴 어렵다는 지적이다. 오픈뱅킹에 참여하기 위해선 각종 전산망과 앱 개발이 필수적이지만 자본금이 적은 중소저축은행의 경우 이를 부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비대면·디지털 고객이 꾸준히 늘어나는 가운데 오픈뱅킹 서비스로 대형업체 위주의 ‘욱석가리기’가 시작될 거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지금 지방에 있는 저축은행 중에서는 자본금이 대형저축은행의 1/100 수준도 안되는 곳들이 많다”면서 “결국 오픈뱅킹으로 저축은행업계도 옥석가리기를 통한 교통정리가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끈한 2차 계엄 부탁해요" 현수막 내건 교회, 내란죄로 고발당해 - 아시아경제
- "좋아해서 욕망 억제 못했다"…10대 성폭행한 교장 발언에 日 공분 - 아시아경제
- "새벽에 전여친 생각나" 이런 사람 많다더니…'카카오톡'이 공개한 검색어 1위 - 아시아경제
- '다이소가 아니다'…급부상한 '화장품 맛집', 3만개 팔린 뷰티템은? - 아시아경제
- "ADHD 약으로 버틴다" 연봉 2.9억 위기의 은행원들…탐욕 판치는 월가 - 아시아경제
- 이젠 어묵 국물도 따로 돈 받네…"1컵 당 100원·포장은 500원" - 아시아경제
- "1인분 손님 1000원 더 내라" 식당 안내문에 갑론을박 - 아시아경제
- 노상원 점집서 "군 배치 계획 메모" 수첩 확보…계엄 당일에도 2차 롯데리아 회동 - 아시아경제
- "배불리 먹고 후식까지 한번에 가능"…다시 전성기 맞은 뷔페·무한리필 - 아시아경제
- "꿈에서 가족들이 한복입고 축하해줘"…2억 당첨자의 사연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