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 갈등 '일단 봉합'..수수료 인상 불가피[이슈플러스]

박승완 기자 2021. 1. 29. 17: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승완 기자]
<앵커>

설 연휴를 앞두고 배송 대란을 우려한 정부가 택배 노사와 함께 잠정합의안을 만들었는데요.

택배 노조가 합의안에 찬성표를 던지면서 일단 파업은 피하게 됐지만 불씨는 여전합니다.

먼저 박승완 기자입니다.

<기자>

택배노조(전국택배노동조합)가 하루 만에 총파업 종료를 결정했습니다.

전체 조합원 투표에 부친 잠정합의안이 찬성률 86%로 통과됐기 때문입니다.

합의문은 `추가 인력 투입 기한`을 일주일 뒤인 2월 4일로 못 박고, 각 회사의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분류작업 지원 계획이 포함됐습니다.

사측이 분류인력 보충을 미루며, 합의를 파기하려 한다는 비판을 의식한 겁니다.

<인터뷰> 김태완 / 전국택배노동조합 위원장 (27일 기자회견)

"택배사가 사회적 합의를 파기했습니다. 노동자에게 장시간 과로사의 원인인 `공짜 노동 분류작업`을 계속하라고 합니다."

CJ대한통운·한진택배·롯데택배 등 각 택배회사가 합의에 직접 참여한 점도 눈에 띕니다.

한국통합물류협회가 대표로 참여했던 이전 합의보다 구속력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해석됩니다.

합의 내용을 두고 택배사는 "택배비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평가합니다.

물류인력을 투입하거나 비용을 지불하는 것, 나아가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재원 마련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택배업계 관계자

"비용이 들어가는 대책들이기 때문에 이행하기 위해서는 재원이 마련돼야 하는데, 재원은 결국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받아야 하는…"

이유야 어쨌든 설을 앞두고 파업 카드를 또 꺼내 들면서, 시민들을 협상의 볼모로 삼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승완입니다.
박승완 기자 pswan@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