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아트×세운상가, 1960년대 미디어 테크놀로지 시장 견인한 세운상가 재해석

임소라 2021. 1. 29. 16: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계천박물관에서 기획한 메이드 인 청계천의 세 번째 전시인 '미디어아트×세운상가'는 세운ㆍ청계천 상가의 장인(匠人)들이 예술을 만나 이룩한 뜻밖의 성취를 이야기하고자 한다.

서울익스프레스의 전유진 작가는 "그동안 수많은 실험적인 예술과 아이디어들이 세운상가와 청계천·을지로를 거쳐 미디어아트 작품으로 완성되었다" 며 본 전시를 통해 발표한 작품 또한 그 과정을 다큐멘터리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고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계천박물관 사진 제공

청계천박물관에서 기획한 메이드 인 청계천의 세 번째 전시인 '미디어아트×세운상가'는 세운ㆍ청계천 상가의 장인(匠人)들이 예술을 만나 이룩한 뜻밖의 성취를 이야기하고자 한다. 1960년대 이후는 '속도의 시대'라 할 만큼 빠른 기술의 성장이 있었다. 이 시기에 건립된 세운상가는 미디어 테크놀로지 시장을 견인한 상징적인 장소였으며, 백남준이 기술을 응용해 예술을 실현한 때도 1960년대였다.

기술과 예술의 접점인 미디어아트는 자연스럽게 기술적 진보와 궤를 같이 하여 왔다. 기획전 '미디어아트X세운상가'는 세상 어디에도 없는 가장 특별한 만듦이 가능한 지점, 세운상가에서 이루어진 예술과 기술의 만남에 주목하고 있다.

세운상가 주변에서는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곳은 오래전부터 수 많은 가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자생적으로 제조 생태계가 자리잡은 매우 특별한 지역이다.

우리나라의 컴퓨터 산업, 게임, 영상 등 미디어 테크놀로지 시장이 형성되는데 큰 역할을 했으며 세계적으로 도심제조업이 주목받고 있는 현재에도 여전히 유효한 기술력, 그리고 문화와 예술이 어우러진 공간이다.

서울익스프레스의 전유진 작가는 "그동안 수많은 실험적인 예술과 아이디어들이 세운상가와 청계천·을지로를 거쳐 미디어아트 작품으로 완성되었다" 며 본 전시를 통해 발표한 작품 또한 그 과정을 다큐멘터리 영상으로 만나볼 수 있다고도 했다.

우란문화재단 사진제공

한편, 최근 세운상가 일대의 역사성과 잠재력을 본 젊은 예술가와 청년 메이커들이 하나둘 모이기 시작했다. 서울익스프레스도 서울익스프레스기술랩이라는 이름으로 이 일대 도심제조업을 연계한 성장을 추구하는 세운협업지원센터 창업공간인 메이커스큐브에 입주해있다.

전 작가는 “미디어아트를 하는 팀에게 세운상가는 정말 매력적인 곳이며 다양한 매체를 결합하고 연결하면서 그 속에서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창작하는 활동으로 미디어아트를 생각하는데, 이 지역에서는 모든 사람과 기술이 연결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디어아트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기계나 장치를 만들 일이 많은데 이런 제작을 하기에 세운상가만큼 적합한 지역이 없다”며 “재료도 모터, 스프링, 베어링에서부터 아크릴, 금속가공 등 많은 재료를 구할 수 있고 필요에 맞게 가공까지 할 수 있기에, 이 지역의 기술자로부터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덧붙였다.

최근 젊은 예술가와 창작자들이 계속 모여들고 있다. 유명한 ‘호랑이’ 카페를 필두로 레트로와 뉴트로가 공존하는 ‘힙지로’ 문화 열풍을 이끄는 곳이기도 하다. 세운상가 양옆에서는 재개발이 진행 중이기도 하지만, 이 지역이 가지고 있는 본질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된다.

이 지역의 본질은 수십 년에 걸쳐 축적된 제조 생태계, 다름 아닌 모든 것이 연결되고 협업이 이뤄지는 창의적인 건물이기도 하거니와 그 가치를 보존하고 있는 공간이다. 허름하게 보이는 동네 외관만으로 가치를 판단해서는 안 되는 곳이다. 여기 이 곳, 세운상가에 사람이 있고, 기술 그리고 예술이 있다.

임소라 기자 mail00@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