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엇갈리는 원격수업, 만족도는 갈수록 높아졌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교육부가 지난해 두 학기에 걸쳐 진행한 원격수업 설문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교육 당국과 학교가 받아든 일종의 성적표로, 올해도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을 병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학교 운영의 보완 방향을 보여준다.
학생을 직접 가르치는 교사들이 두 학기 동안 원격수업의 가능성을 인식한 것과 달리 교육서비스를 받는 학부모 입장에선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았던 셈이다.
수업 방식의 변화와 더불어 2학기에 등교와 원격수업이 병행된 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육부가 지난해 두 학기에 걸쳐 진행한 원격수업 설문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교육 당국과 학교가 받아든 일종의 성적표로, 올해도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을 병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학교 운영의 보완 방향을 보여준다.
먼저 눈에 띄는 부분은 원격수업 지속 여부다. 교사들에게 코로나19 종식 후에도 원격수업을 계속할지 묻자 ‘매우 그렇다’ 18%, ‘그렇다’ 51.2%로 10명 중 7명이 긍정적으로 답했다. 반면 학부모들은 ‘매우 그렇다’ 4.6%, ‘그렇다’ 23.8%로 10명 중 3명 미만에 그쳤다. 교사들은 전국적인 원격수업이란 집단 경험을 통해 ‘거꾸로 학습’이나 ‘온·오프라인 연계 수업’ 같은 미래형 수업의 가능성을 엿본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학부모들은 원격으로 제대로 학습이 이뤄질지 의문이며, 교사·또래와의 교감 기회가 줄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듯했다.
학생을 직접 가르치는 교사들이 두 학기 동안 원격수업의 가능성을 인식한 것과 달리 교육서비스를 받는 학부모 입장에선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았던 셈이다. 학부모 지지 속에 안정적으로 학사 운영을 하려면 양측의 간극을 줄이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만족도를 분석해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다. 학부모 만족도를 보면 ‘매우 만족’이 1학기 4.3%에서 2학기 3.8%로 하락했으나 ‘대체로 만족’ 응답이 46.9%에서 53.9%로 뛰었다. ‘매우 만족’과 ‘대체로 만족’을 합친 비율이 1학기 51.2%에서 57.7%로 올랐다.
만족도 상승 이유는 무엇일까. 교사들은 실시간쌍방향 수업(3.02점), 콘텐츠활용형(2.78점), 과제수행형(2.75점) 순으로 학생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 가르치는 내용에 따라 실시간쌍방향과 과제수행형, 콘텐츠활용형을 섞는 방식(3.05점)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다. 학부모 역시 실시간쌍방향 수업을 가장 선호했다(2.7점). 학생들의 경우 교사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로 배우는 방식(3.09점)을 가장 좋아하고 실시간쌍방향(3.01)이 그다음이었다.
학생·학부모가 선호하는 수업이 늘어 만족도 상승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실시간쌍방향 수업은 1학기 6%에서 2학기 19.3%로 늘었다. 실시간쌍방향 수업과 콘텐츠활용형을 조합한 형태는 4.3%에서 23.1%, ‘실시간쌍방향+과제수행형’은 2.3%에서 6.9%, ‘실시간쌍방향+과제수행형+콘텐츠활용형’은 2.2%에서 6.4%로 늘었다. 학생들이 좋아하는 ‘교사 제작 콘텐츠’는 20.3%에서 25.3%로 증가했다. EBS 등 콘텐츠만 활용한 수업은 45.1%에서 22.8%, ‘콘텐츠활용형+과제수행형’ 역시 32.1%에서 17.2%로 급감했다.
학습격차 우려가 줄어든 점도 비슷한 맥락으로 읽힌다. 원격수업으로 학습격차가 ‘매우 커졌다’고 응답한 교사는 1학기 32.7%에서 2학기 17.6%로 하락했다. ‘커졌다’는 46.3%에서 50.8%로 늘었다. ‘변화 없다’는 17.6%에서 27.9%로 증가했고, ‘줄었다’는 3.2%에서 3.3%로 비슷했다. ‘매우 커졌다’는 응답이 ‘커졌다’와 ‘변화 없다’로 옮겨간 것이다. 수업 방식의 변화와 더불어 2학기에 등교와 원격수업이 병행된 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교사가 학생을 직접 대면한 뒤 필요한 경우 보충지도를 하면서 우려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등교수업 기간 보충지도가 이뤄진 경우는 초등학교 46.4%, 중학교 37.3%, 고교 39.1%였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피해자 장혜영' 향한 요구는 정당한가..전문가에게 물었다
- “아스트라제네카, 65세 미만에만 접종” 독일 권고
- 전국 강풍특보..내일 출근길 체감온도 영하 22도
- "교사가 유치원 급식에 모기기피제 뿌려..코피 20분 쏟았다"
- 12살 딸 성폭행한 말레이 계부, '1회당 10년' 1050년형
- 쓰레기인줄..내다버린 3억원어치 달러, 어디로 갔나
- 우상호 "나경원, 23억 은마아파트 녹물은 안타까운가"
- ‘귀멸의 칼날’ 1위 질주에…日 “한국 불매운동 안해?” 조롱
- "친오빠가 찔렀다" 이 말하고 신길동 주택가 쓰러진 여성
- "그 서류 연고대 위한 것" 정경심 문자, 최강욱 발목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