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마산권역 재활용품 현장 '여전히 지켜지지 않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창원시가 27일 마산권역 재활용품 분리배출·수거 현장을 찾아 직접 배출·수거 상황을 점검했다.
마산지역은 1월부터 낮은 자원 재활용률을 높이고, 압착으로 인한 자원 훼손을 줄이기 위해 배출·수거 체계를 전면 개선했다.
월요일은 무색·유색 페트병, 비닐류만 배출하고, 그 외 재활용품은 읍면동별 지정 요일에 배출해야 하며, 재활용품 수거 차량도 비 압착 차량으로 전면 개선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박새얀 기자] 경남 창원시가 27일 마산권역 재활용품 분리배출·수거 현장을 찾아 직접 배출·수거 상황을 점검했다.
마산지역은 1월부터 낮은 자원 재활용률을 높이고, 압착으로 인한 자원 훼손을 줄이기 위해 배출·수거 체계를 전면 개선했다.
월요일은 무색·유색 페트병, 비닐류만 배출하고, 그 외 재활용품은 읍면동별 지정 요일에 배출해야 하며, 재활용품 수거 차량도 비 압착 차량으로 전면 개선했다.
시는 모니터링한 결과, 월요일에만 배출하는 무색·유색 페트병, 비닐류가 잘 지켜지지 않고 있어 여전히 혼합배출이 많았다.
이로 인해 전 지역 수거가 원활하지 않으며, 부피가 큰 스티로폼, 플라스틱류로 인해 수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현장 점검에 집중하고 있다.
이정근 시 환경도시국장은 “아직도 재활용이 안 되는 슬리퍼, 기저귀, 휴지 등이 많이 섞여서 배출되고 있어 올바른 분리배출 의식 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영남취재본부 박새얀 기자 sy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 폐지 줍다 절도범 몰린 할머니, 검찰 수사로 누명 벗었다
- 캐나다 18세 소녀, 인생 첫 복권 '448억 잭팟'
- [정치 그날엔]이준석이 압도한 與 지지층 여론조사…당원투표는 나경원이 역전
- "보스가 돌아왔다" 감원 한파 속 주도권 잡은 기업들
- 日 인기선물 '시로이코이비토' 생산 급감…"조류독감에 달걀파동 여파"
- 나경원 찾은 김기현…경쟁자들 "학폭 가해자 행태 멈추라"
- [찐비트]달라진 사무실 풍경…지금 왜 실험을 시작해야 하는가
- ‘조혼 악습’과의 전쟁 나선 인도...2000명 체포
- 사라진 닭날개 1만 상자…식재료 빼돌린 美 급식 담당관
- "돈이 뭐길래"…재산 분할하다 前부인 살해한 중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