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만에 돌아온 '요지연도' 베일 벗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에서 50여 년 만에 귀환한 조선왕실 병풍 '요지연도(瑤池宴圖)'가 27일 국립고궁박물관 궁중서화실에서 공개됐다.
문화재청은 병풍 한 폭의 뒤편 배접지(褙接紙·종이나 헝겊을 여러 겹 포개어 붙인 종이)에서 1957년 조선일보 신문과 1959년 동아일보 신문을 확인해 소장자가 미국에 가져가기 전 한국에서 표구한 사실을 알아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근대기에 제작된 '신선도' 12폭 병풍도 함께 전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50여 년 만에 귀환한 조선왕실 병풍 '요지연도(瑤池宴圖)'가 27일 국립고궁박물관 궁중서화실에서 공개됐다.
너비 5.04m, 세로 2.21m 크기의 대형 병풍이다. 중국 고대 전설 속 서왕모가 신선들의 땅인 곤륜산 연못 요지에 주나라 목왕을 초대해 연회를 베푸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도교적 주제인 불로장생을 통해 국가와 왕조의 오랜 번영을 염원하고 있다. 박물관 관계자는 "조선 후기 궁중을 중심으로 유행한 신선도"라고 설명했다.
이 작품은 지난해까지 미국의 한 개인이 소장했다. 소장자의 아버지가 50여 년 전 주한미군으로 근무할 당시 구매해 미국으로 가져갔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국내 경매사를 통해 20억원에 사들여 국립고궁박물관에 이관했다.
요지연도는 경매 당시 장황(裝潢·비단 또는 두꺼운 종이를 발라 꾸밈) 상태가 제작 시기보다 후대로 추정돼 표구(表具·그림의 뒷면이나 테두리에 종이 또는 천을 발라서 꾸밈) 시기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다. 문화재청은 병풍 한 폭의 뒤편 배접지(褙接紙·종이나 헝겊을 여러 겹 포개어 붙인 종이)에서 1957년 조선일보 신문과 1959년 동아일보 신문을 확인해 소장자가 미국에 가져가기 전 한국에서 표구한 사실을 알아냈다.
그동안 알려진 대표적 요지연도로는 국립중앙박물관과 경기도박물관 소장품이 있다. 모두 18~19세기에 제작됐다. 이번에 공개된 요지연도 또한 19세기 이전에 만들어졌다. 박물관 관계자는 "요지연도는 서왕모와 목왕 앞자리에 잔치상이 놓인다는 공통된 특징이 있는데, 이번에 공개된 작품에는 찬탁 대신 여러 악기를 연주하는 시녀들이 배치돼 있다. 연회의 분위기를 더욱 고조해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근대기에 제작된 '신선도' 12폭 병풍도 함께 전시했다. 박물관 관계자는 "화폭마다 중국 고사에 등장하는 길상(吉祥)적 의미의 신선들이 묘사돼 조선 후기 궁중 신선도의 시기적 변화를 감상할 수 있다"고 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새 아파트 안방문 열었더니 심각한 '악취'…천장서 포장된 인분 나와 - 아시아경제
- '초밥에 침 묻히기' 영상 퍼져 곤욕…고심 끝에 테이블마다 대형 모니터 설치 - 아시아경제
- "보고싶어요"…중학교 시절 교사에 문자 폭탄 보낸 20대 - 아시아경제
- "엉덩이 섹시하네" 여성 부사관 모욕한 20대 징역형 - 아시아경제
- "월 300만원 벌어도 못 갚겠다"…'영끌족'의 말로 - 아시아경제
- "할머니 아이스크림 먹을래요"…편의점서 무심코 들었다 '깜짝' 가격이? - 아시아경제
- 하루 4시간 일하면 한 달에 300만원…배달라이더 천국된 美도시 - 아시아경제
- 겹경사난 조민…"눈물로 하루 보낸다"는 정유라 - 아시아경제
- 추석의 기적? 14층에서 추락했는데 전선에 걸려 목숨 건져 - 아시아경제
- 정부가 나눠주는 '명절 보조금'놓치지 마세요…누가 받을 수 있나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