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담한 12월..취업자수 62만명 줄었다, 연중 감소폭 사상 최대
정부가 악화일로인 고용 상황에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기껏해야 정부가 돈을 퍼부어 아르바이트형 자리를 만들고, 청년과 노인에게 제공하는 게 전부였다. 15개 부처 장·차관으로 구성된 '고용위기 대응반'이 27일 회의를 연 결과다.
회의를 주재한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지난해 3월부터 10개월 연속 전년 동월대비 취업자 수가 감소해 연간 21만8000명이 줄었다"고 보고했다. 이 장관은 "특히 11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3차 확산에 따라 12월은 62만8000명이 감소해 연중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며 참담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그러면서 "향후 고용 여건도 녹록지 않다"며 "고용감소세 차단과 일자리 회복의 모멘텀을 확보하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정부의 다짐이 현실화하기는 쉽지 않다. 정부도 한계를 절감하는 듯하다. 내놓은 대책이 반증하고 있다.
이 장관은 "공공부문이 취약계층의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1분기에 직접 일자리의 80%(83만명), 사회서비스 일자리의 44%(2만8000명)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취약계층이란 취업난에 허덕이는 청년과 노인, 저소득층 등이다. 정부가 올해 재정을 퍼부어 만드는 직접 일자리 규모는 104만개에 달한다. 사회서비스 일자리는 6만3000개 만들 예정이다. 지금까지 직접 일자리에 54만2000명, 사회서비스 일자리에 1만800명을 배정했다. 각각 연간 계획의 52.1%, 17%에 해당하는 수치다.
청년 취업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이 장관은 "지난해 청년 고용률은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감소했고, 일할 의욕을 잃고 비경제활동인구로 유입되는 청년층의 규모도 확대됐다"며 고개를 숙였다.
지난해 '그냥 쉬었다'는 청년층은 44만8000명에 달했다. 2016년 26만9000명, 2017년 29만9000명 등에 비하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수치다. '그냥 쉬었다'는 것은 취업할 생각을 접었다는 뜻으로, 고용시장에선 자포자기로 받아들인다. 노력해도 안 되니 의욕을 잃고, 경제활동을 접었다는 얘기다.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청년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청년 고용 충격을 해소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을 계속 발굴하겠다"였다. 아직도 정부가 현장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모른다는 의미로 전달된다. 마땅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김기찬 고용노동전문기자 wols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두부로 300억 매출 올린 '조성철'···그녀 정체는 바이올리니스트
- 배우 박은석, 반려견 파양의혹···"키우던 푸들 어디 있나요"
- 장롱속 ‘등골브레이커’ 버리지 마세요…그때 그 패딩 뜬다
- [단독] 백령도 40㎞ 앞까지 왔다, 중국 군함 대놓고 서해 위협
- 진중권 "김어준 왜 사과를 모를까, 유시민과는 다른 게임 중"
- 쪽지 세장으로 '미국판 정인이' 구했다, 식당 종업원의 기지
- [단독]성관계 영상 퍼뜨려도 무혐의···이유는 "원본 아니니까"
- “中 못믿겠다, 동진하라”…韓 대기업 화끈한 ‘바이 아메리카’
- [단독]윤지오 출국 2년···송환 위해 캐나다에 범죄증거 보낸다
- [단독] 이휘재 논란에 시끌···'살인충동' 층간소음 메스 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