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현미밥은 괜찮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당뇨환자는 백미보다 현미밥을 먹어야 한다고 알고 있다.
백미보다 현미가 낫긴 하지만 안심하고 많이 먹어도 되는 정도는 아니다.
백미에는 보통 100g당 77~78g 정도의 혈당을 높이는 당질이 들어있고, 현미에는 100g당 73g 내외의 당질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미밥을 지을 때 90% 이상의 백미에 10% 정도만 현미를 섞는데, 백미가 더 많은 밥은 혈당관리 측면에서 백미 100% 밥과 큰 차이가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당뇨환자는 백미보다 현미밥을 먹어야 한다고 알고 있다. 그렇다면 현미는 마음껏 먹어도 되는걸까?
◇현미, 백미보다 당질 '약간' 낮다
백미보다 현미가 낫긴 하지만 안심하고 많이 먹어도 되는 정도는 아니다. 현미는 백미보다 당질 함량이 낮고 식이섬유는 조금 더 많다. 백미에는 보통 100g당 77~78g 정도의 혈당을 높이는 당질이 들어있고, 현미에는 100g당 73g 내외의 당질을 갖고 있다. 먹는 양을 줄이지 않는 이상 혈당이 감소하는 효과를 체감하기에는 너무 작은 차이다. 현미에 포함된 당질도 적은 양은 아니기 때문에 당뇨환자라면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당뇨 식단관리 한다면, 과감하게 백미 줄여야
식단 조절을 위해 현미밥을 먹기로 결심했다면, 밥의 최소 50% 이상은 현미가 되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미밥을 지을 때 90% 이상의 백미에 10% 정도만 현미를 섞는데, 백미가 더 많은 밥은 혈당관리 측면에서 백미 100% 밥과 큰 차이가 없다. 과감하게 백미를 50% 이하로 줄이고 나머지는 식이섬유 함량이 높은 통곡물이나 콩류를 섞어 밥을 지어야 한다. 현미보다 당질 함량이 낮은 귀리, 율무, 서리태, 렌틸콩, 퀴노아 등으로 바꾸는 것이 도움이 된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이 많은데 어지러워 휘청~ 당뇨병 위험 높습니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당뇨병이 가려움증을 유발한다고?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당뇨병 환자, 담배 끊고 싶다면 ‘이것’ 시도해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당뇨병 환자, 혈관 건강 위해 짧더라도 자주 운동해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당뇨병 위험 30% 낮추는 ‘이 식단’ 아세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이것' 부족해도 당뇨병 위험 높아져"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홍삼오일, '전립선 비대' 개선에 효과
- '더 글로리' 송혜교 팔에 나팔꽃… 흉터 가리려고 문신, 괜찮나?
- 다이어트 성공하려면 ‘이 채소’와 친해지세요
- 고질병 '허리 디스크' 수술도 작게… 내시경 수술 가이드라인 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