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의 쏠림은 '또 하나의 변동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개인 투자자들이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국민주'로 불리게 된 삼성전자로의 쏠림 현상이 향후 증시에 복병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삼성증권은 '개인 투자자들의 순매수 종목을 살펴보면 시총 사위 종목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하다'며 '이처럼 소수 기업에 큰 자금이 집중되는 것은 변동성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경계 요인'이라고 24일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개인 투자자들이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국민주'로 불리게 된 삼성전자로의 쏠림 현상이 향후 증시에 복병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삼성증권은 '개인 투자자들의 순매수 종목을 살펴보면 시총 사위 종목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하다'며 '이처럼 소수 기업에 큰 자금이 집중되는 것은 변동성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경계 요인'이라고 24일 분석했다.
개인의 자금이 가장 많이 몰린 것은 삼성전자다. 지난해 12월1일부터 지난 21일까지 최근 1개월간 개인 순매수 상위 종목은 삼성전자, 현대모비스, 기아차 순이다. 그 투자 비중은 삼성전자가 32.7%, 삼성전자 우선주가 9.5%였고 나머지는 3% 이하였다.
이 같은 쏠림 현상은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미국에서도 발견이 된다. 미국의 무료 주식중개 플랫폼으로 미국판 개미들이 활용하는 로빈후드에서 매매가 집중된 종목들로 구성된 지수는 지난 1년간 S&P500을 70% 가량 앞섰다. 개인 투자자의 성과가 빼어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겠지만, 소수에 대한 자금 쏠림이 미국에서도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다만 삼성증권은 이 같은 쏠림 현상에 대해 "소수 종목 쏠림이 지속된다는 점은 부담"이라며 "개별종목 이슈에 시장 전반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분석했다. 최근 이재용 부회장의 재구속 소식에 삼성전자가 3.41% 하락하는 등 삼성 그룹 16개 상장 계열사의 시가총액은 하루 만에 28조원이 증발한 것이 가까운 예로 들 수 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연석 70억, 이하늬 60억 이어 조진웅도 11억 걸렸다…"세법 해석 차이" - 아시아경제
- "구충제로는 치료 못 해"…'국민생선' 고등어에서 식중독 유발 고래회충 발견 - 아시아경제
- 블랙핑크 제니 "즐겨 먹는 과자" 한마디에…2640억 올랐다 - 아시아경제
- "직원들 여권 압수, 해외여행 금지"…딥시크에 초강수 둔 中 - 아시아경제
- 65세 이상이 딸기 꾸준히 먹으면 생기는 일…"놀랄 만한 효과" - 아시아경제
- "로켓 해지하고 넘어왔어요"…쿠팡 위협하는 다이소몰 '오늘배송'[천원템의 진화] - 아시아경제
- 한동훈 "청년들 독박 씌워선 안 돼…연금개혁안, 거부권 행사해야" - 아시아경제
- "일본보다 한국 게 더 귀여워"…김밥·계란빵 들고 명동 휩쓰는 외국인들 - 아시아경제
- "인생 최고의 미친 짓"…물린 주식 회사 찾아간 치과의사, 사내이사 됐다[소액주주의 눈물]⑥ -
- "부자라고 무서워해야 하나"…머스크 성전환 딸, 공개 비판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