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기기에 가장 많이 한 말은.."전화해줘" "오늘 날씨 어때"

최현주 2021. 1. 23. 07: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요즘 주변을 둘러보면 ‘말 알아듣는’ 디지털 기기가 제법 많다. 스마트폰을 비롯해 인공지능(AI) 스피커, TV에 자동차까지 음성을 인식한다. 그렇다면 이런 말 알아듣는 디지털 기기에 가장 많이 하는 음성 명령은 뭘까.

시장조사전문업체인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성인(만 19~59세) 10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기에 음성 명령을 해본 적 있는지 조사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자중 디지털 기기에 음성 명령을 해본 응답자는 71%다. 2년 전 같은 설문조사(54%)보다 대폭 늘었다.

스마트폰이나 TV 같은 디지털 기기에 '음성 명령' 기능을 사용하는 이용자가 늘고 있다. [사진 LG전자]

나이가 어릴수록 음성 명령을 사용해 본 경험이 많았다. 20대 응답자의 82%가 음성 명령을 해본 적이 있다고 답했고 30대가 72%, 40대와 50대가 각각 64%다. 이들은 주로 스마트폰(91%)으로 음성 명령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피커(34%), 스마트TV(19%), 태블릿PC(10%) 등이 뒤를 이었다.

디지털 기기에 가장 자주 거는 말은 뭘까. 10명 중 6명은 “000에게 전화 걸어줘”라는 말을 써 본 것으로 나타났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주로 스마트폰으로 음성 명령을 이용하다 보니 전화 걸기 기능을 많이 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일정이나 날씨 등을 묻는 알림서비스(59%), 원하는 정보를 찾아달라는 정보 검색(50%), 길을 안내해달라는 경로 탐색(44%), 각종 애플리케이션 실행(41%) 등이 뒤를 이었다.
가장 큰 불만은 ‘말을 못 알아듣는다’(61%)였다. 또박또박 신경 써서 발음해야 한다(49%), 인식률이 낮다(36%), 주변 소음 등을 고려해야 한다(33%) 등 대개 오작동과 관련된 불만이 많았다.

가장 기대하는 기능은 ‘비서 역할’이었다. 디지털 기기가 개인 일정을 관리해주길 원한다는 응답(61%)이 가장 많았다. 날씨 정보 제공(56%), 궁금한 것을 알려주는 기능(52%), 외국어 번역(50%) 등에 대한 기대도 컸다.

음성 명령에 대한 우려는 주로 개인 정보와 관련된 것이었다. 10명 중 6명은 일상 생활이 불특정 다수에게 노출될 것(61%)을 우려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는 “전체 응답자의 73%가 개인정보 공개를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며 "관련 시장이 커질수록 기업이 사용자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를 갖게 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