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퐁당당 띄어앉기 적자 불보듯" 25주년 명성황후도 올스톱

박민지 2021. 1. 22. 04: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획사 "절반도 못 채우면 공연 못해"
공연계 "좌석 70% 가동 절실" 호소
'동반자 거리두기'로 조정 요구
올해 25주년을 맞은 뮤지컬 ‘명성황후’가 3일 간의 프리뷰 공연을 끝으로 개막을 무기한 연기했다. ‘명성황후’ 역대 포스터들. 에이콤 제공


“속상해서 어쩔 줄을 모르겠습니다. 객석 절반도 못 채우게 하면 대체 어떻게 공연을 올리라는 겁니까. 25주년 맞춰 새롭게 만든 세트나 의상 비용도 손해가 크지만, 무엇보다 일자리 잃은 배우들은 어떻게 하나요? 공연이 취소될까 봐 잠도 못 자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 프리뷰 공연 종료되면 언제 공연이 다시 올라갈지 모르니 아르바이트 구하느라 애먹고 있다고 해요.”

전례 없는 침체… 연거푸 한숨만

뮤지컬 ‘명성황후’ 25주년 기념 프리뷰 공연 마지막 날인 20일 만난 윤호진 에이콤 예술감독의 토로다. 이 공연은 지난 6일 개막 예정이었으나 정부가 퐁당당 좌석제(두 칸 띄어 앉기)를 유지하면서 19일로 개막을 잠정 연기했다. 이때만 해도 정부가 16일 브리핑에서 퐁당퐁당 좌석제(한 칸 띄어 앉기)로 지침을 재조정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다.

하지만 정부는 재차 퐁당당 좌석제를 유지했다. 에이콤은 막대한 손실을 감당할 수 없어 단 3회의 프리뷰 공연만 진행하고 정식 개막은 무기한 연기했다. 향후 정부 조치 등을 검토한 후 재개막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지금 같은 방역 지침이 유지된다면, 최악의 경우 25주년을 맞아 새롭게 단장한 작품이 이대로 막을 내릴 수도 있다.

프리뷰 공연에는 여러 공연계 인사들이 모였다. 전례 없는 팬데믹 위기 속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가 돼 활로를 찾고 있는 이들이지만, 이날은 연거푸 한숨을 내쉬었다. 윤 감독은 “공연계에 수십 년을 몸담아왔지만, 지금처럼 힘든 시기는 없었다”며 “공연장에 한 번이라도 와봤는지 묻고 싶다. 마스크 착용하고, 물도 안 마시고, 정면만 보고 있는데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없는 환경 아닌가”라며 거듭 마른세수를 했다.

25주년 맞아 완전히 달라졌는데…

뮤지컬 ‘명성황후’는 1995년 12월 명성황후 시해 100주기를 맞아 처음 예술의전당 무대에 올랐다. 여성 정치가로서 명성황후의 고뇌를 담은 국내 창작 뮤지컬로, 역사적 사실에 상상력을 더했다. 초연 2년 만에 한국 창작 뮤지컬 최초로 브로드웨이와 웨스트엔드에 진출했다.

에이콤은 뮤지컬 ‘명성황후’ 25주년 공연을 2년 전부터 준비했다. 내내 침울하던 윤 감독은 작품을 이야기할 때는 표정이 조금 밝아졌다. “그냥 무대 바닥 빼고는 다 바꿨다고 생각하면 돼요”. 기존 성스루(Sung-Through) 형식을 유지하면서 드라마를 강화했고, 대본도 촘촘하게 정비했다. 역사적 주제를 무게감 있게 다루는 만큼 극 전반의 긴장감이 높은데, 관객이 지치지 않도록 이를 완화하려는 장치를 곳곳에 배치했다. 그러면서도 속도감과 몰입도는 한층 끌어 올렸다. 스토리와 음악, 안무는 과감하게 압축했다. 세계적인 작곡가 양방언이 참여해 전곡을 편곡했다.

LED를 활용한 풍성한 무대 디자인은 일품이다. 관객의 시선을 압도하는 경사진 회전 무대와 어우러질 때는 장관이었다. 거대한 LED를 타고 조선의 화려한 궁과, 침략당한 검푸른 바다와, 불길에 휩싸인 조선을 간접 경험할 수 있었다. 현대 감각에 맞춰 의상도 세련되게 만들었다. 에이콤은 “25년의 역사를 가진 젊은 뮤지컬로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뮤지컬계 종사자들이 ‘동반자 거리두기’ 적용을 촉구하는 모습. 한국뮤지컬협회 제공

“동반자 거리두기 도입하라”

현재 공연계는 객석의 절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조치를 촉구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1년간 공연장 내 감염 전파는 없었지만, 방역 당국은 일부 다중이용시설 집합금지·운영제한 조치를 완화하면서도 공연장의 퐁당당 좌석제 조치는 유지했다. 이 경우 객석의 30% 정도만 채우게 돼 무대를 올릴수록 적자를 떠안을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강도 높은 거리두기 적용은 관객 심리를 얼어붙게 하는 큰 요인이다.

최근 범 문화계가 효율적인 거리두기 지침을 촉구하고 있다. 퐁당퐁당·퐁당당 좌석제가 아닌 일행끼리는 붙어 앉도록 해 객석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20일 공연·영화계 단체들이 모인 ‘코로나피해대책마련 범 관람문화계 연대모임’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극장·공연장 2차 감염은 없었다”며 “좌석의 70% 가동이 필요하다”고 외쳤다. 연인, 친구, 가족끼리 함께 오는 관람객이 대다수인 점을 감안해 두 자리 착석 후 한 자리를 띄우는 현실적인 거리두기 운영안을 주장했다.

하루 전날 한국뮤지컬협회와 뮤지컬계 종사자들도 ‘동반자 거리두기’ 적용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유리 한국뮤지컬협회 이사장은 “공연 산업 및 업종 특성에 맞는 방역 수칙 재수립을 촉구하라”고 말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