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첫 여성 감독이 촬영장서 아이를 업고 있던 이유

강경루 입력 2021. 1. 19. 16:49 수정 2021. 1. 19. 17: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일 국립극장 '명색이 아프레걸' 초연
한국 최초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 조명
국립극장 제공

“과부는 사람이 아이가? 남편따라 죽어야 될 사람(미망인)이 아니라 전쟁에서 살아남은 사람들 아이가? 눈돌리지 말자, 자세히 들이다 보자 싶어가 영화로 찍을라칸다 카면 느무 그창한가?”

한국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1923~2017)은 첫 촬영을 시작하면서 배우들에게 사투리로 외친다. 서른 두살의 박남옥은 생후 6개월 아이를 둘러업고 촬영장을 누비며 영화 ‘미망인’(원제 ‘과부의 눈물’)을 1955년 세상에 내보였다. 그리고 16㎜ 흑백 장편 ‘미망인’은 지금도 한국전쟁으로 남편과 사별한 여성의 현실과 심리를 여성의 시선으로 가감 없이 파고든 당대 독보적인 여성영화로 회자되고 있다.

20~24일 서울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초연하는 ‘명색이 아프레걸’은 박남옥의 성취와 분투를 조망하면서 현재를 고찰하는 작품이다. 화려한 제작·출연진으로 지난해 말 기대를 모았으나 코로나19 여파로 뒤늦게 무대 오른다. 대본을 쓴 고연옥 작가는 19일 본보와 통화에서 “박남옥은 혼란한 전쟁 직후에 미래로 가는 물꼬를 튼 인물”이라며 “보수적인 사회 분위기에 영화는 3일 만에 극장에서 내려갔지만, 도전은 현재로 이어져 여성 담론의 발판이 됐다”고 말했다.

한국 최초의 여성 영화감독 박남옥. 이경주씨 제공

‘아프레걸’은 당시 주체적 여성을 지칭하던 말이다. 박남옥이 그랬다. 문학·영화 등에 조예가 깊었으며 비평가·기자로도 일했던 신여성 박남옥은 통념을 거부하고 영화 제작에 나선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기저귀를 들고 제작비를 구하러 다녔고, 스태프에게 직접 밥을 해 먹였다. 여성이라는 이유로 녹음실 하나 구하는 것도 애를 먹었다. 그래서인지 촬영 당시 아이를 포대기에 업은 박남옥 사진에는 다부진 의지 사이로 허탈함과 피곤함도 묻어난다.

한국 영화사에 상징적인 이 사진이 ‘명색이 아프레걸’의 출발이 됐다. “아이를 업은 모습에서 여전히 육아 등 전통적인 역할을 짊어진 여성의 모습이 연상됐다”는 고 작가는 자서전과 영화·사회학 텍스트를 바탕으로 극본을 써 내려갔다. LA에 사는 사진 속 주인공 딸 이경주씨와 연락을 수차례 주고받으며 실재감을 더했다. 고 작가는 “박남옥이 ‘조선영화 최고 스타 여배우인 김신재의 열렬한 팬이었다’ 같은 피상적인 얘기에 그치지 않는다는 게 이 작품의 매력”이라고 했다. 이화여전 가정과 재학 당시 기숙사 사감과의 일화 등을 폭넓게 담은 극은 ‘미망인’ 제작기와 박남옥의 삶을 극 중 극 형태로 구성해 몰임갑을 높였다.

소리꾼 김주리. 국립극장 제공

무대는 최근 국립극단 신임 단장 겸 예술감독으로 취임한 김광보 연출가가 매끄럽게 풀어냈다. 고 작가와 김 연출가는 2001년 ‘인류 최초의 키스’부터 20여편에서 호평을 끌어낸 소문난 콤비다. 국립극장 3개 전속단체(국립창극단·국립무용단·국립국악관현악단)이 10년 만에 함께하는 규모 큰 무대로도 관심이 높다. 2019년 국립창극단 대표 레퍼토리 ‘변강쇠 점찍고 옹녀’ 흥행시킨 이소연 단원과 객원 소리꾼 김주리가 박남옥 역에 더블 캐스팅됐다.

이소연 국립창극단 단원. 국립극장 제공

이 중에서도 두 콤비가 입 모아 말하는 포인트는 바로 음악이다. 2019년 창작극 ‘극장 앞 독립군’으로 호흡을 맞췄던 차세대 작곡가 나실인이 참여했다. 나 작곡가는 “창극 등 특정 장르에 얽매이기보단 재밌는 뮤지컬을 보는 듯한 느낌을 내고 싶었다”며 “사회적 금기를 극복한 인물을 묘사하려 음악 곳곳에 추진력을 담았다”고 했다. 이를 위해 멜로디 전반과 국악기와 밴드 세션 곳곳에 에너지 넘치는 같은 선율을 숨겨 놓았다.

시대상 이해가 중요한 극이기에 노랫말 전달도 공들였다. 나 작곡가는 “한국어 가사를 표현하는 건 소리꾼들이 최고라는 생각이 들었다. 좋은 결과물이 나왔다”고 전했다. 그가 16개 넘버(곡) 가운데서 특별히 꼽아 소개한 곡은 극 중반부 클라이맥스 합창곡 ‘명색이 아프레걸이라면’이다. 여성 배우들은 무대 앞으로 나와 세상을 향해 당당하게 노래한다. “명색이 아프레걸이라면 실패한 사랑 따위 오만 오천 개라도 끄떡없어/망한 세상 있는 힘을 다해 사랑하려면 상처도 수치심도 먼지 털어내듯 날려버려.”

강경루 기자 roo@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