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년] 재난 상황에도 집값·전셋값 '꼿꼿'

원나래 2021. 1. 19.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지방 주요지역 평균 아파트값 10억원
서울 중위 전셋값, 새임대차법 5개월간 1억원 급등
청약 경쟁률 76.97대 1..2002년 집계 이래 최고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4000만원, 중위가격 9억원 돌파, 강남구 압구정동 평균거래가 30억, 중위 전셋값 5개월간 1억원 급등한 5억6702만원, 평균 청약 경쟁률 77대 1...


지난 18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역 역사 내부에서 시민들이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을 시청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코로나19 이후 전반적인 경제 침체가 이어진 지난 1년. 하지만 부동산 시장은 그와는 매우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정부의 온갖 부동산 규제에도 매매와 전세시장, 청약 시장 가릴 것 없이 모두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며 코로나 악재에도 꼿꼿했다.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 가격은 4033만원으로 지난 2013년 4월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4000만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1월 3399만원과 비교하면 약 18.65% 급등했다. 이 가운데 강북 지역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강남 지역은 15.81% 오른 반면, 강북 지역은 23.39% 올랐다.


더욱이 고가주택의 상징이었던 10억원 초과 아파트는 이제 ‘옛말’이 됐다. 직방이 전국에 10억원 초과 거래된 아파트를 분석한 결과, 2017년 34개동에 불과했지만, 코로나가 지속된 지난해에 3배 이상 증가한 113개동에서 평균거래가격이 10억원을 넘어섰다.


서울은 32개동(2017년)에서 97개동(2020년)으로 급격히 증가했으며, 서울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같은 기간 2개동에서 16개동이 10억원을 넘어섰다. 과천과 판교 등 일부지역에 국한됐던 10억 초과 아파트의 분포가 2020년에는 분당 구도심과 위례, 광명역세권, 광교 등으로 그 범위가 확대됐고, 비수도권에서는 대구 수성구 수성동3가가 유일하게 포함됐다.


특히 정부의 부동산 규제 집중 타깃이 됐던 강남 지역은 여러 악재 상황에서도 ‘강남불패’ 신화가 이어졌다.


지난해 전국에서 거래된 80만5183건의 아파트 거래사례를 분석한 결과,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이 평균거래가격 29억9000만원선으로 30억원 가까이 기록하며 전국에서 거래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평균거래가격이 20억원을 초과하는 지역 역시 서울 압구정동 외에 반포동, 용산동5가, 대치동, 서빙고동, 도곡동, 잠원동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한 아파트단지 모습.ⓒ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전세 시장은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모르는 사람에게 전셋집 보여주기를 꺼리는 분위기가 이어졌다. 결국 재계약 위주로 시장이 돌아가며 매물이 줄어들었다.


문제는 지난해 정부와 여당이 추진한 임대차3법과 사전청약 대기수요까지 매물 부족 현상에 가세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5개월 동안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1억원 가깝게 뛰었다. 이는 법 시행 직전 약 5년 동안 오른 전셋값과 맞먹는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동안 비교적 안정세를 보였던 서울 전세시장은 지난해 들어 새 임대차법 시행과 청약 대기수요 증가, 실거주요건 강화, 전세의 월세 전환 등의 영향으로 전세 매물 품귀 현상이 빚어지면서 오름폭을 키웠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직접 모델하우스를 관람하기도 불가능한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청약 열기 역시 고조되는 흐름을 보였다.


2020년 전국 아파트 평균 청약 경쟁률은 27.38대 1로, 2019년(15.34대 1)과 비교해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서울은 집계가 시작된 2002년 이래 가장 높은 청약 경쟁률인 76.97대 1을 기록했다. 인근 시세에 비해 분양가가 책정된 물량이 공급되면서 청약통장이 대거 몰린 영향이다.


부동산 전문가는 “지난해는 코로나19의 경제 침체와 다양한 부동산 규제책에도 불구하고 두 자릿수 집값 상승률을 기록했다”며 “서울 대부분 지역을 비롯해 지방광역시 주요지역의 아파트 평균 거래가격이 10억원을 넘어설 만큼 기록적인 한 해였다”고 분석했다.


그는 “그동안 공급이 부족한 데 반해, 수요가 많아 가격이 급등했다”며 “올해도 코로나 여파가 지속되지만, 이 보다는 정부의 공급 계획에 따라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8일 청와대 기자회견에서 부동산 가격 폭등 원인에 대해 “투기를 잘 차단하면 (공급량이 충분할 것이라는) 그런 판단이 있었다”며 “투기 억제에 역점을 두었지만, 결국 부동산 안정화에는 성공하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투기를 억제하는 기조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동산 공급에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데일리안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