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주의 아트&디자인] 김창열·물방울·미술관

이은주 2021. 1. 19. 00: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별 하나에 추억(追憶)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憧憬)과/ 별 하나에 시(詩)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윤동주(1917~1945)의 ‘별 헤는 밤’이란 시입니다. 많은 사람은 숱한 점들이 알알이 박힌 김환기(1913~1974)의 작품을 보면 이 시구가 절로 떠오른다고 합니다. 윤동주에게 별이 그러했듯이 김환기의 점은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는 도구였으니까요.

지난 5일 작고한 ‘물방울 화가’ 김창열(1929~2021)에게 별은 물방울이었습니다. 초기 시절에 쓴 작가노트엔 기억의 방울들에 대한 이야기가 이렇게 나옵니다. “(물방울 그리기는) 내가 자란 문화로의 회귀(…)”이며 “때로는 아이들 물장난하듯, 때로는 꽃다운 나이에 죽어간 내 많은 친구의 혼을 달래는 살풀이”였다고요. 물방울은 그가 평생 도달하고 싶어했던 평온의 경지이자 충만한 무의 세계였습니다.

그런데 투명 물방울 회화의 뒷얘기에 꼭 등장하는 ‘의외의’ 장소가 있습니다. 바로 마구간입니다. 1972년 작가는 파리에서 18㎞ 떨어진 교외에서 마구간을 빌려 작업을 했는데요, 이때 재활용하기 위해 물을 뿌려둔 캔버스에 맺힌 물방울을 보고 전율을 했다지요. 물방울과의 첫 만남은 “항상 생존이 문제”였던 시절, 기적처럼 일어난 일이었습니다.

김창열, 회귀, 1991, 캔버스에 한지, 먹, 아크릴 릭, 130.3x162.2㎝. [사진 갤러리현대]

1973년 첫 전시에서부터 격찬을 받았다지만, 물방울 그리기에 반세기 가량 매달린 일이 어디 그리 쉬운 일이었을까요. 나중에 한 인터뷰에서 그는 “물방울을 없애버리고 싶은 욕망이 수없이 솟아오른다. 물방울이 내 운명처럼 돼버렸다”고 털어놓기도 했습니다. 또 2013년 본지와의 인터뷰에선 “물방울이 무슨 의미가 있나. 무색무취한 게 아무런 뜻이 없다”고 했고, “화가들은 착각이 심해서 어떤 때는 물방울을 그리면서 영혼과 닿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도 했습니다.

마구간의 아침으로부터 40년이 흐른 2014년, 김창열 화백은 시대별 주요 작품을 직접 골라 220점을 제주도에 기증했습니다. 평안남도 맹산 출신인 그는 6·25 때 1년 6개월간 머문 제주를 제2의 고향으로 여겼고, 자신의 물방울들이 바다와 바람과 돌이 있는 제주에 머물기를 바랐습니다. 그 결실이 2016년 개관한 제주도립 김창열미술관이고요.

서울 종로구는 올해 중 김 화백의 작업실이 있던 평창동 자택을 종로구립 미술관으로 조성하는 작업에 착수합니다. 이는 공공을 위한 문화유산을 만들겠다며 종로구와 유족이 일찌감치 뜻을 모으고 준비해왔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김 화백은 생전에 “어떤 화가로 기억되고 싶냐”는 물음에 “너절하지 않은 화가로 남고 싶다”고 답했습니다. 자신이 평생을 바친 물방울들의 자리까지 차분하게 준비하고 떠난 화가, 그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함께 기억하고 싶습니다.

이은주 문화선임기자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