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배 AI와 함께하는 바둑 해설] 두터움과 느림

2021. 1. 15. 00: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6강전〉 ○·신진서 9단 ●·렌샤오 9단

장면 1

장면 ①=눈에 익은 AI 포진이다. 흑이 잇달아 삼삼을 파고들어 실리를 쌓고 있다. 한데 신진서 9단의 백1,3이 낯선 느낌을 준다. 오랜 세월 이렇게 뻗는 수는 두터운 수법으로 두말할 필요 없는 정답이었다. 그런데 AI 이후 변했다. 이제 프로들은 백이 너무 느리지 않은가 의심하고 겁낸다. 한데 이창호 9단은 지금도 이 수를 가장 많이 둔다. 가만 보니 AI 기대승률에서도 불과 1% 정도 떨어질 뿐이다. 그런 정도라면 추억이 담겨있고 인간의 냄새가 물씬 풍기는 이 수를 싫어할 이유가 없지 않은가.

AI 추천1

◆AI 추천1=AI는 백1의 육박을 권한다. 그다음 백5까지 난이도가 높은 수순이 이어진다. 인간 고수들은 이런 행마들을 해독하고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분투한다. 힘든 공부다.

AI 추천2

◆AI 추천2=AI의 또 다른 추천은 백1 젖히고 3 끊는 것. AI 이후 최고 인기품목이 몇 개 있는데 그중 하나다. 11축으로 몰면 12가 축머리를 겸한 호착. 다만 이런 AI 수법들은 인간 능력으로는 계산 불가능한 영역이어서 손에 잡힌 듯하다가도 물처럼 빠져나가곤 한다.

박치문 바둑 칼럼니스트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