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클로 모회사, 한국서 흑자 전환 성공한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패스트패션(SPA) 브랜드 유니클로의 모회사 패스트리테일링이 지난 분기 사상 최대 기록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냈다.
특히 한국에서는 수익성이 떨어지는 영업점을 폐쇄하고 판매관리비를 줄이는 등 몸집 줄이기에 나서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한국과 중국을 담당하는 '유니클로 인터내셔널'의 영업이익은 414억엔으로 9.5% 증가에 그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우수연 기자]일본 패스트패션(SPA) 브랜드 유니클로의 모회사 패스트리테일링이 지난 분기 사상 최대 기록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냈다. 특히 한국에서는 수익성이 떨어지는 영업점을 폐쇄하고 판매관리비를 줄이는 등 몸집 줄이기에 나서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14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패스트리테일링의 2021 회계연도 1분기(지난해 9~11월) 영업이익은 약 1131억엔(약 1조19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3% 증가했다.
이는 시장 컨센서스를 웃도는 수치로 분기 영업이익 기준으로 2년전 기록한 사상 최대치(1139억엔)에 근접한 기록이다. 다만 같은 기간 매출액은 6197억엔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6% 가량 줄었다.
패스트리테일링은 일본과 중화권(중국·홍콩·대만)에서 큰 이익을 얻었고 유니클로 자매 브랜드인 GU도 성과를 냈다고 이번 호실적의 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한국에서 적자가 해소되고 흑자 전환에 성공한 점이 이익 증가에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브랜드별로는 '유니클로 재팬'의 영업이익이 600억엔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했다. 한국과 중국을 담당하는 '유니클로 인터내셔널'의 영업이익은 414억엔으로 9.5% 증가에 그쳤다.
패스트 리테일링 관계자는 "한국 시장은 매출은 급격히 감소했지만 수익성이 떨어지는 영업점을 폐쇄하고 지출 통제를 강화하며 판관비와 매출 총이익률을 관리함으로써 흑자 전환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좋아해서 욕망 억제 못했다"…10대 성폭행한 교장 발언에 日 공분 - 아시아경제
- '다이소가 아니다'…급부상한 '화장품 맛집', 3만개 팔린 뷰티템은? - 아시아경제
- "화끈한 2차 계엄 부탁해요" 현수막 내건 교회, 내란죄로 고발당해 - 아시아경제
- "새벽에 전여친 생각나" 이런 사람 많다더니…'카카오톡'이 공개한 검색어 1위 - 아시아경제
- "ADHD 약으로 버틴다" 연봉 2.9억 위기의 은행원들…탐욕 판치는 월가 - 아시아경제
- 이젠 어묵 국물도 따로 돈 받네…"1컵 당 100원·포장은 500원" - 아시아경제
- "1인분 손님 1000원 더 내라" 식당 안내문에 갑론을박 - 아시아경제
- 노상원 점집서 "군 배치 계획 메모" 수첩 확보…계엄 당일에도 2차 롯데리아 회동 - 아시아경제
- "사우디 왕자랑 결혼, 이주할 거라 싸게 판다"…'중동 공주'라고 불리던 中 여성들 정체 - 아시아
- "꿈에서 가족들이 한복입고 축하해줘"…2억 당첨자의 사연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