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안 퇴근길뉴스]고민정 백신 발언 논란, 정인이 양모 재판서 혐의 부인, 이준석 안철수 혹평, 문정원·이휘재 '층간소음' 논란, 김종인 "文 부동산 실패 '3줄 사과'로 넘어갈 일 아냐" 등

박정민 2021. 1. 13. 17: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12월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법률안 제안 설명을 하고 있다.ⓒ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고민정 백신 발언 논란…강용석 "제발 고민 좀 해라"


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이 지난 1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호주와 뉴질랜드, 대만이 백신 확보하고도 접종하지 않는 이유' 기사를 공유한 뒤 "환자의 상태와 주변환경 등을 고려해 처방하는 사람이 명의"라고 적었다.


이에 대해 일부 누리꾼들은 '우리나라의 현실과는 맞지 않는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강용석 변호사도 가로세로연구소 유튜브 방송을 통해 "고 의원은 제발 고민 좀 하길 바란다. 우리도 백신 있는데 안 맞았으면 좋겠다"며 비난했다.


강 변호사는 고 의원을 향해 "같은날 11일 기준 신규 확진자수는 호주 19명, 뉴질랜드 3명, 대만 6명, 한국 451명이다. 그런데 이런 비교를 하느냐"고 꼬집었다.


▲양모 장씨 "난 정인이 떨어뜨렸을 뿐" 범행 부인


16개월 된 입양아 정인양을 학대해 숨지게 한 혐의로 기소된 양모 장씨가 13일 자신의 재판에 출석했다. 장씨 측은 "학대와 살인 의도가 없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장씨 측 변호인은 "아이의 양팔을 잡아 흔들다가 가슴 수술 후유증으로 떨어뜨린 사실이 있다"면서도 "장기가 훼손될 정도로 강한 둔력을 행사한 적은 없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당초 장씨를 '아동학대 치사'로 기소했지만 법의학자 등의 의견을 반영해 최근 공소장을 변경해 장씨에게 '살인죄'를 적용했다.


검찰은 "장씨가 발로 피해자의 복부를 밟았다"며 정인이의 사망원인을 "'발로 밟는 등의 복부에 가해진 넓고 강한 외력으로 인해 췌장 파열 등 복부손상과 이로 인한 과다출혈'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준석 "안철수를 잘 아는 사람들은 모두 그에 부정적"


이준석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13일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향해 "안 대표를 잘 아는 사람들은 모두 그에게 부정적이다"며 "다들 겪어보면 알 것"이라고 혹평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이날 CBS라디오 '뉴스쇼'에 출연해 "보수진영에서 안 대표에 대한 평가는 둘로 갈리는 것 같다"며 "젊은 사람들이 하는 얘기 중에 '잘알'이라는 표현이 있다. '잘 안다'는 뜻인데 '안잘알', 다시 말해 '안철수를 잘 아는 사람들' 같은 경우네는 전부 다 부정적"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같이 일 해 본 사람들은 안 대표의 행보에 대해 용두사미식으로 끝날 것 아니냐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안 대표가 정치를 하면 항상 비슷했다"고 말했다.


▲문정원·이휘재 '층간소음 논란' "아랫집이 보살이다"


이휘재 문정원 부부가 층간소음 논란에 휩싸였다. 문정원이 지난 11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올린 게시물에 아랫집 주민이라는 한 누리꾼이 층간 소음 피해를 호소하는 댓글을 남긴 것.


누리꾼은 문정원에 "애들 몇 시간씩 집에서 뛰게 하실 거면 매트라도 제발 깔고 뛰게 하세요. 벌써 다섯 번은 정중하게 부탁드린 것 같은데 언제까지 아무런 개선도 없는 상황을 참기만 해야 되나요? 리모델링 공사부터 1년 넘게 참고 있는데 저도 임신 초기라서 더 이상은 견딜 수 없어 댓글 남기니 시정 부탁드린다"며 불편을 호소했다.


이에 문정원이 댓글로 사과했지만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각종 커뮤니티에는 문정원·이휘재의 집에서 층간소음이 날 수밖에 없는 모습들을 한데 모아 놓은 게시물이 올라오고 있다. 비난이 계속되자 문정원은 해명글을 삭제했다.


▲김종인 "文 부동산 실패, '3줄 사과'로 넘어갈 일 아냐"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3일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를 통해 부동산 정책실패를 인정하며 사과의 뜻을 표한 것을 두고 "3줄 사과로 넘어갈 일이 아니다"며 "대대적인 정책 기조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부동산 정상화 대책 기자회견'을 열고 "시장 실패가 아니라 정책 실패 때문에 부동산 대란이 발생했다"며 정부 정책을 질타했다.


그는 △부동산에 대한 대통령과 정부의 인식 변화 △대대적인 부동산 정책 기조 전환 △임대차 3법 개정 △부동산 징벌 세금 철회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데일리안 박정민 기자 (Grace5@dailian.co.kr)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