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숙인' 공공 무료급식 단가 40% 인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코로나19에 한파까지 겹치면서 힘겨운 겨울을 나고 있는 거리 노숙인들이 보다 양질의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노숙인 공공 무료급식 단가를 2천500원에서 3천500원으로 40% 대폭 인상했다.
서울시는 저소득 노인 무료급식(3천500원) 등과 동일한 수준으로 인상해 노숙인들에게 보다 균형 잡힌 식사를 안정적으로 제공한다는 목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코로나19에 한파까지 겹치면서 힘겨운 겨울을 나고 있는 거리 노숙인들이 보다 양질의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노숙인 공공 무료급식 단가를 2천500원에서 3천500원으로 40% 대폭 인상했다. 올해부터 적용에 들어갔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거리 노숙인을 지원하는 민간단체가 불가피하게 급식을 일부 중단한 상황을 반영해 시가 운영·지원하는 노숙인 이용시설의 급식 지원 인원도 약 30.7%(870명→1천137명) 늘렸다.
무료급식은 보통 밥, 국, 반찬 3가지가 제공된다. 노숙인 급식단가는 2018년부터 저소득 어르신에게 무료급식을 지원하는 타 복지시설과 비교해 매우 낮은 수준인 2천500원에서 동결돼 왔다.
특히 지난해 8월엔 장기간 폭우로 채솟값이 오르면서 양질의 급식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서울시는 저소득 노인 무료급식(3천500원) 등과 동일한 수준으로 인상해 노숙인들에게 보다 균형 잡힌 식사를 안정적으로 제공한다는 목표다.
노숙인 급식단가가 인상되면서 시설별로 노숙인의 영양 개선을 위해 요구르트나 우유, 과일 등의 후식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인상된 급식단가는 서울시가 설치·지원하는 노숙인 이용시설 7개소와 노숙인 생활시설 33개소, 총 40개 공공시설에 적용된다.
서울시는 노숙인 이용시설이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만큼 방역관리도 철저히 하고 있다.
공공급식소 테이블마다 칸막이를 설치했고, 각 시설에 이용자 체온측정 및 명부작성, 마스크 지급 및 식사 시간 외에 마스크 착용, 식사 전·후 급식장 소독 등 코로나19 방역지침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요청했다. 현장을 지속해서 모니터링 중이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코로나19에 동절기 한파까지 겹쳐 힘겨운 겨울을 나고 있는 노숙인들에게 양질의 안정적인 식사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며 "특히 식사를 위해 시설을 찾는 노숙인들에게 자활 지원 서비스 관련 정보 제공과 상담을 강화해 거리 생활을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도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끝)
출처 : 서울시청 보도자료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한미, 연합연습 확대…"F-22·F-35·항모 더 많이 출동"
- 이재명-김성태, 2019∼2020년 각각 모친상때 측근들이 대리 조문
- 中, 한국발 입국자만 공항서 코로나 검사…"대등조치" 주장
- 서울 중형택시 기본요금 오늘부터 4800원으로 인상
- 주택업계 "미분양, 정부가 사달라"…정부 "자구노력이 먼저"
- 與지지층 대상 양자대결, 안철수 60.5% 김기현 37.1%[한국갤럽]
- IMF 부총재 "고금리·무역적자 때문에 한국 성장률 하향 조정"
- 연금특위 與野간사·자문위원장 회동…초안 지연상황 논의
- SK가스·E1, 2월 국내 LPG 공급가격 ㎏당 50원 인하
- 핵무기감축협정 종료 위협하는 러, 美의 핵사찰 재개 요구 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