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그린·디지털 뉴딜에 30조 수출금융 지원

문채석 2021. 1. 13. 13: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앞으로 5년간 한국판 뉴딜에 30조원의 수출금융을 지원한다.

그린 뉴딜 분야에선 전략시장을 4개로 나누고 맞춤형 유망 프로젝트를 발굴해 수출·수주를 지원한다.

기획재정부가 주관하는 '해외수주지원협의회' 안에 '민관합동 그린 뉴딜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해 금융조달, ODA, 컨설팅 등 지원을 프로젝트별로 제공한다.

주요 전략국의 재외공관과 IT 지원센터 등 해외의 거점을 '디지털 뉴딜 전진기지'로 활용해 전방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K-뉴딜 글로벌화 전략' 발표
수출금융, ODA 확대 등 총력지원
디지털 수출액 1800억→2500억弗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해 7월16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그린 뉴딜' 주요 내용을 설명하는 모습.(이미지 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정부가 앞으로 5년간 한국판 뉴딜에 30조원의 수출금융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2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9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K-뉴딜 글로벌화 전략'을 13일 발표했다.

핵심은 수출금융과 공적개발원조(ODA) 지원을 늘려 해외 수주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것이다.

대표산업을 그린에너지 등 7개로 나누고, 그린·디지털 뉴딜 분야에서 주요 추진과제를 각각 4개씩 추려냈다.

5년간 30조원 대출 공급…선진·신흥 등 4개 전략시장별 맞춤형 수주 추진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그린 뉴딜 분야에선 전략시장을 4개로 나누고 맞춤형 유망 프로젝트를 발굴해 수출·수주를 지원한다.

전략시장을 선진 성숙시장(미국·유럽연합 등), 신흥 성장시장(동남아시아·중남미 등), 분산전원 유망시장(인도네시아·필리핀 등), 에너지 다각화 시장(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등)으로 나눈다.

기획재정부가 주관하는 '해외수주지원협의회' 안에 '민관합동 그린 뉴딜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해 금융조달, ODA, 컨설팅 등 지원을 프로젝트별로 제공한다.

미국 등 선진 시장에선 재생에너지, 전기·수소차 부문에서 공동 연구개발(R&D)과 투자 협력을 이끌어낸다는 복안이다. 민자 발전을 활용해 수주를 늘린다.

인니 등 분산 전원 유망 시장에선 신·재생에너지 설비와 계통 설비를 합친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을 추진한다. 사우디 등 에너지 다각화 시장에선 태양광 연계 담수화 설비 수출 기회를 엿본다.

수주 체계는 물론 금융 지원도 강화한다. 오는 2025년까지 5년간 30조원(디지털 뉴딜 포함)의 수출·수주 대출을 공급한다. 대출한도를 최대 10% 포인트 확대하고, 추가 금리 혜택 우대를 제공한다. 중견기업은 0.3%포인트, 중소기업은 0.5%포인트 낮춰준다.

중소·중견기업의 참여도가 높은 ODA에서 그린 뉴딜 ODA 비중을 6.4%에서 22.7%로 확대한다. 22.7%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이다. 이를 통해 그린 뉴딜 분야 개발도상국 시장 진출 기반을 강화한다.

미국, 영국, 캐나다, 독일, 호주, 중국 등과 함께 민간 주도 '글로벌 H2 얼라이언스'를 신설해 다자 간 수소 협력을 확대한다. 공동 R&D와 실증 등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5G·AI 국내 실증 결과 내면 해외 진출 시 실적 인정 지원

디지털 뉴딜 분야에선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융합산업에서 5G, AI 등 주요 분야 국내 실증 결과를 해외 진출 시 레퍼런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분기에 출범하는 'K-디지털 얼라이언스'를 통해 디지털 및 다른 분야 기업을 포괄하는 선단형 해외 진출을 적극 추진한다. 디지털정부 협력센터를 3개소에서 7개소로 늘린다.

12개 도시에서 시행 중인 스마트시티 협력사업과 1조5000억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 펀드 지원 등을 통해 스마트 사회간접자본(SOC) 분야의 수주를 지원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 급성장 중인 비대면 산업은 사업 초기부터 현지 기업·자본과 협업하는 현지화 전략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이외에도 미국, EU 등과 5G·사이버 보안 등 핵심기술 국제 공동연구 확대, 원격교육 등 디지털 ODA 추진, AI·데이터 등 디지털 정책 의제에 AI 윤리기준 및 법제 로드맵 적용 등을 추진한다.

또 디지털 분야 해외 진출 기업 투자를 총 2260억원 규모로 늘린다. 글로벌 벤처펀드, 디지털미디어 콘텐츠 전문펀드 등을 활용한다.

'디지털 뉴딜 민·관 협력회의' 안에 해외진출 TF를 설치한다. 주요 전략국의 재외공관과 IT 지원센터 등 해외의 거점을 '디지털 뉴딜 전진기지'로 활용해 전방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