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챗봇 이루다 논쟁..AI시대 반면교사 삼아야

2021. 1. 13. 00: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성차별·개인정보 보호 논란 불거져
AI, 약 아닌 독 될 수 있어 대비할 때

혐오 발언 등으로 논란이 된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가 3주 만에 결국 서비스를 중단했다. 이루다는 대화 중에 동성애자나 장애인을 혐오하고, 이용자가 요구할 경우 ‘성노예’ 수준의 대답까지 해 언론과 사회의 뭇매를 맞았다. 한편으로는 관심을 모으면서 이루다의 회원 수가 지난 주말을 거치면서 20만 명 이상 급증하기도 했다.

사실 AI 챗봇 이슈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6년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가 챗봇 ‘테이’를 내놨으나 백인 우월주의와 여성 혐오와 같은 이슈가 불거져 서비스를 중단한 바 있다. 2002년 처음 나온 한국의 원조 토종 챗봇 ‘심심이’도 그간 비슷한 윤리 문제가 수시로 불거지면서 조금씩 진화했다. 이제는 국내보다 외국에서 더 많이 알려지면서 전 세계 누적 사용자가 4억 명에 가깝다고 한다. 그럼에도 이루다가 갑자기 논란이 된 것은 외국이 아닌 국내에서 AI 챗봇을 둘러싸고 혐오와 성차별 등 윤리 문제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AI 윤리 불감증’과 ‘규제 사각지대’ 등 비판의 목소리가 뜨겁다.

한국 사회가 이루다 논쟁에서 직시해야 할 것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빅데이터 이용과 관리의 문제다. 이루다는 스타트업 스캐터랩이 자사의 다른 서비스를 통해 연인 간의 카카오톡 대화 수억 건을 입수했고, 이를 바탕으로 챗봇 학습을 했다고 한다. 이용자의 동의도 받았기 때문에 합법적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대부분 이용자는 대화 내용이 AI 챗봇 서비스의 재료가 되리라고는 상상도 못했을 것이다. AI에 빅데이터는 로켓의 연료와 같은 존재다. 좋은 빅데이터가 들어가야 좋은 AI가 만들어진다. 전문가들은 ‘설명할 수 있고 투명하며, 보편타당한 빅데이터가 사용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빅데이터 사용에 대한 구체적 동의를 거쳐야 하는 점은 말할 것도 없다.

둘째, 이미 많이 지적되고 있는 윤리 문제다. 미성년자도 사용할 수 있는 챗봇에 혐오와 성희롱적 대화가 난무하게 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개발자들이 정교한 알고리즘을 구현해야 함은 물론 이용자도 상식적으로 용인되는 대화를 하는 성숙한 자세가 필요하다.

AI는 이미 우리 삶 속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다. AI를 장착한 청소 로봇이 집 안 구석구석을 누비며 쓸고 닦는 일을 훌륭히 해내고 있다. 스피커 속으로 들어간 AI는 아직 서투르지만 나름 개인비서 역할을 시작하고 있다. 이런 생활형 AI 외에도 판사의 판결을 돕는 법률 AI, 의사의 진단을 돕는 닥터 AI 등 다양한 전문 영역 속에서 AI가 이미 맹활약하고 있다. 이런 분야에서 AI의 말과 판단이 잘못될 경우 그 여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이루다 논쟁을 AI 시대의 ‘백신’으로 삼고, 다양한 ‘미래의 충격’을 미리 점검하고 대비해야 할 때다.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