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한국에도 트램 들어온다.. 국토부, 트램 차량 표준규격 마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트램 사업의 계획 수립 및 트램 차량 도입 시 활용할 수 있는 '트램 차량 표준규격'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이윤상 대광위 광역교통운영국장은 "트램이 보편화되어 있는 유럽, 북미 등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출발이 늦어진 측면이 있다"며 "이번에 마련된 표준규격을 통해 지자체의 트램 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차량 제작사 입장에서 장기적 부품 판매처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등 국내 트램의 활성화와 트램 산업의 성장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가선·무가선 구분.. 무가선에는 전기성능 별도 제시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트램 사업의 계획 수립 및 트램 차량 도입 시 활용할 수 있는 '트램 차량 표준규격'을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표준규격은 성능, 차체, 이용자 편의성, 안정 등 4개 분야에 대해 총 35개 세부항목을 선정해 제시됐다.
이번 표준규격 마련은 지자체의 트램 사업지원 등을 위해 마련됐다. 도로에 깔린 레일 위를 주행하는 교통 수단인 트램은 유럽, 북미 등 주요 도시에서 대중적인 교통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은 2016년부터 '도시철도법' 등 트램 도입에 필요한 관련 법령 정비를 통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이르면 2023년부터 부산 오륙도선을 시작으로 서울 위례선, 대전 2호선 등이 순차적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국내 운행사례가 없고, 해외 제작사의 트램 차량 종류가 다양해 각 지자체들은 차량 선택 및 노선계획 수립 등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또한 지역별로 다양한 차량이 도입될 경우 유지보수와 운영의 효율성이 낮아지고, 지역별 소량 맞춤형 발주에 따른 차량 구매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우려도 제기됐다. 이번 표준규격은 이러한 문제를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표준규격은 우선 트램 차량을 유가선 트램과 무가선 트램 2종류로 구분했다. 유가선 트램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선로를 따라 설치된 전기선으로부터 차량에 전력을 공급해 전기선 설치가 필수적이다. 무가선 트램은 현재 국내에서 개발을 진행 중으로 배터리나 연료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선 설치가 불필요하다.
트램 차량의 성능은 최고속도를 시속 70㎞로, 입력전압은 도심지 공급에 적합한 750V로, 가감속 수준 등 주요 성능은 해외에서 주로 운행되는 트램 차량과 동등한 수준으로 설정했다. 차체 규격은 전 세계적으로 많이 운행되는 5모듈 1편성(35m)을 기본으로 하고, 국내 도심지 도로의 차로 폭(2.75m~)과 육교 등 도로시설의 높이(4.5m~) 등을 고려해 도로주행에 적합하도록 차량 폭은 2.65m로, 차량 높이는 3.6m로 했다.
또 이용자 편의성 면에서는 냉·난방 성능(8∼10kW)과 조명 밝기(250lx) 등을 규정하고, 바닥 높이는 교통약자의 접근성 등을 고려해 저상버스와 동일한 350㎜로 설정했다. 안전을 위한 충돌강도와 차량 무게 등은 유럽 규격, 도시철도건설규칙 등 국내·외 규칙을 준용했다.
대광위는 두 종류의 성능기준을 대부분 동일하게 설정하되, 무가선은 에너지 저장방식(ESS)에 따른 전기성능을 별도로 제시했다. 기준으로는 현재 기술개발 현황 및 향후 도입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배터리, 슈퍼 커패시터(super-capacitor, 초고용량 축전기), 수소 연료전지 등 3가지를 제시했다. 각 무가선 방식별로 기존 도시철도에 비해 짧은 거리를 운행하는 트램의 노선특성을 고려해 배터리 기준 40㎞이상 운행 가능한 수준의 충전용량과 충전시간을 설정했다.
표준규격에서 제시된 주요 수치는 지자체 및 국내 제작사 등의 의견과 국내·외 기술수준, 해외에서 상용 중인 트램의 성능수준 등을 고려하여 설정했다. 이번 표준규격은 권고의 성격으로 각 지자체는 표준규격을 우선 참고하되 해당 지역의 여건에 맞춰 일부 항목을 조정해 적용할 수 있다.
이윤상 대광위 광역교통운영국장은 "트램이 보편화되어 있는 유럽, 북미 등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출발이 늦어진 측면이 있다"며 "이번에 마련된 표준규격을 통해 지자체의 트램 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차량 제작사 입장에서 장기적 부품 판매처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등 국내 트램의 활성화와 트램 산업의 성장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왜 안 먹어요 석열씨"…尹 체포에 '구치소 선배' 조국 밈 등장 - 아시아경제
- "저 중국인 아닙니다"…한국 올 때 '이 스티커' 꼭 붙인다는 대만인들 - 아시아경제
- 직원들에 나눠준 복권 12억 당첨되자 "가져와, 다 같이 나누자" - 아시아경제
- "내 노래가 이렇게 개사되다니"…尹 헌정곡 합창에 원곡자도 '당혹' - 아시아경제
- "아침밥 안 해주는 여자 바람 필 듯"…기안84 발언에 때아닌 설전 - 아시아경제
- "홍상수·김민희 커플 임신…올 봄 출산 예정" - 아시아경제
- "아이 치아 부러졌으니 부모가 3000만원 줘야"…재판부 판단은? - 아시아경제
- "아이만 탔다면 옆좌석 남자 안돼"…이유 물으니 "성범죄 98% 남자여서" - 아시아경제
- "뭔죄가 있다고 잡혀가나"…배우 최준용 부부, 尹 체포에 오열 - 아시아경제
- "안내견은 위험해서 안됩니다" 다이소 매장에서 시각장애인 앵커가 당한 차별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