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만에 두산인프라코어차이나 매매대금 소송 14일 최종 판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두산인프라코어 매각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중국 법인 두산인프라코어차이나(DICC) 소송의 상고심이 오는 14일 열린다.
지난 2011년 두산인프라코어는 기업공개(IPO) 등을 전제로 DICC 지분 20%를 FI에 매각했다.
두산인프라코어 매각금액은 8000억원 중반대로 전망된다.
일각에선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현대중공업·한국산업은행인베스트먼트(KDBI) 컨소시엄과 매각계약을 앞둔 상황에서 이번 상고심 결과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민지 기자] 두산인프라코어 매각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중국 법인 두산인프라코어차이나(DICC) 소송의 상고심이 오는 14일 열린다.
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오는 14일 DICC 주식 매매대금 지급 소송의 상고심 선고 공판을 연다.
이는 미래에셋자산운용·하나금융투자, IMM프라이빗에쿼티 등 재무적투자자(FI)가 2015년 11월 소송을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 2011년 두산인프라코어는 기업공개(IPO) 등을 전제로 DICC 지분 20%를 FI에 매각했다. 3년 내 IPO가 진행되지 않으면 FI가 대주주 지분과 자신들의 지분을 합쳐 제 3자에게 팔 수 있는 동반매도청구권도 약정했지만, IPO와 공개 지분매각도 무산되면서 소송전으로 돌입하게 됐다.
이번 상고심에서 두산인프라코어가 패소할 경우 FI로부터 지분 20%를 되사야 해 최대 1조원 가량의 우발채무가 발생한다. 법원이 1심에서 두산인프라코어, 2심에서 FI 손을 들어뒀다.
두산인프라코어 매각금액은 8000억원 중반대로 전망된다. 이 경우 그룹으로 들어오는 현금이 아예 없을 수 있어 그룹 재무구조 개선안 이행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두산인프라코어가 승소해도 FI 측은 동반매도청구권을 행사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현대중공업·한국산업은행인베스트먼트(KDBI) 컨소시엄과 매각계약을 앞둔 상황에서 이번 상고심 결과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편 두산과 현대중공업·KDBI 컨소시엄은 늦어도 이번달 말까지 주식 매매계약(SPA)을 체결하고 4개월 안에 거래를 마무리 지을 계획이다.
이민지 기자 ming@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달리며 기부하던 가수 션, 직원 뽑으려다 눈물의 사과 왜? - 아시아경제
- 나훈아, 야권 비판에 "자기 일이나 똑바로 해라…용서 못해" - 아시아경제
- 김희철 "사실 어디서도 밝히지 않은 건데…" 뒤늦은 충격 고백 - 아시아경제
- "3분간 여자 껴안는데 9000원"…일본에 있다는 카페 논란 - 아시아경제
- "위·아래서 찍고 맛있다 박수치고"…식당 전세 낸 먹방 유튜버 - 아시아경제
- "궁디 팡팡 해주세요"…두 번이나 바람핀 아내 또 - 아시아경제
- 노후주택 매입한 현빈, 이 방법으로 140억 시세차익 - 아시아경제
- '尹 지지' JK김동욱 "너희들 찢는다…몹쓸 세력 뿌리 뽑아야" - 아시아경제
- "비트코인 8000개 찾아야 해"…10년간 쓰레기장 뒤진 남성 근황 - 아시아경제
- 잡히지 않는 美 LA 산불…'최후 수단' 바닷물까지 동원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