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우린 책임적 핵보유국..美, 대북 적대정책 철회하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보유국을 자처하며 미국을 겨냥해 대북 적대시 정책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9일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사흘간(5∼7일) 진행된 노동당 8차 대회 사업총화 보고에서 김 위원장이 "(우리는) 책임적인 핵보유국"이라면서 "적대세력이 우리를 겨냥해 핵을 사용하려 하지 않는 한 핵무기를 남용하지 않을 것을 확언했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대강·선대선 원칙으로 미국 상대할 것"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보유국을 자처하며 미국을 겨냥해 대북 적대시 정책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9일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사흘간(5∼7일) 진행된 노동당 8차 대회 사업총화 보고에서 김 위원장이 "(우리는) 책임적인 핵보유국"이라면서 "적대세력이 우리를 겨냥해 핵을 사용하려 하지 않는 한 핵무기를 남용하지 않을 것을 확언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핵 무력을 과시하면서도 이를 남용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김 위원장은 "국가방위력이 적대 세력의 위협을 영토 밖에서 선제 제압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올라섰다"며 "한반도 정세 격화는 우리를 위협하는 세력의 안보 불안정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이는 오는 20일 취임하는 조 바이든 미국 신임 대통령을 겨냥해 메시지를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미국에서 누가 집권하든 미국이라는 실체와 대조선정책의 본심은 절대로 변하지 않는다"며 "대외정치활동을 우리 혁명 발전의 기본 장애물, 최대의 주적인 미국을 제압하고 굴복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지향시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앞으로도 강대강, 선대선의 원칙에서 미국을 상대할 것"이라며 "새로운 조미(북·미)관계 수립의 열쇠는 미국이 대조선(대북)적대시 정책을 철회하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Copyright©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스마트폰 하느라 환자 방치한 의료진…결국 '물 과다 섭취'로 사망한 英여성 - 아시아경제
- 질문에 "잠깐 확인 좀" 국회서 폰 꺼냈다 혼난 日고노 - 아시아경제
- "오빠, 회사에 알릴까?" 지인·선배 상대로 '기획 성폭행' 20대들 - 아시아경제
- "車공간 획기적으로 넓힌다"…세계 최초 바퀴에 모터단 현대차·기아의 혁신 - 아시아경제
- 헬리오·파크리오 1억 넘게 빠져…선도 아파트값 상승세 멈췄나 - 아시아경제
- "분당 유치원 앞 '이완용 비석' 웬말이냐" 결국 철거 - 아시아경제
- "알고 봐도 열받네" 흥분·분노도 인증샷…'서울의봄' 심박수 챌린지 - 아시아경제
- "꽈추형, 직장내 괴롭힘으로 권고사직 서명" 또다른 폭로 - 아시아경제
- 장예찬 "인요한 빠른 사과 잘했다…이준석 사과, 한번도 들어본 적 없어" - 아시아경제
- 1월 인천에서 로또 사신 분, 15억 빨리 찾아가세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