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동학개미+실적' 삼각편대..코스피 3000시대 열었다

하현옥 2021. 1. 6. 18: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3000선을 돌파한 6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날보다 0.97% 오른 3,019.62를 나타내고 있다.[뉴스1]

코스피 3000시대가 열렸다. 출범 38년 만이다. 시가총액 2000조원은 지난 4일 이미 돌파했다. 시중에 흘러넘치는 유동성과 동학개미의 진격, 국내 기업의 실적 회복이라는 삼각편대가 새 역사를 썼다.

3000시대 개막에 대한 기대감으로 출발한 6일 코스피는 장중 3027.16까지 치솟았지만 온종일 등락이 이어지면서 전날보다 0.75% 하락한 2968.21에 거래를 마쳤다. 6거래일 연속 신기록 행진을 숨 가쁘게 이어가다 8거래일 만에 숨 고르기 중이다.

증시 시작은 거침없었다. 3000선을 코앞에 둔 코스피는 이날 개장 40초 만에 3000고지에 발을 디뎠다. 하지만 외국인(-6649억원)과 기관(-1조3766억원)이 ‘팔자’에 나서며 2조원 이상 주식을 쓸어담은 개인투자자(2조248억원)의 고군분투에도 3000고지 사수에는 실패했다. ‘대장주’인 삼성전자가 2.03% 떨어진 것을 비롯, LG화학(-0.34%)과 삼성바이오로직스(-1.80%) 등 시가총액 상위종목도 하락했다.

정명지 삼성증권 투자정보팀장은 “블루웨이브(민주당이 대통령과 미국 상하원 장악)의 마지막 퍼즐인 미국 조지아주 상원선거 개표 상황에 따라 시장이 요동을 쳤다”고 말했다.

종가 기준은 아니지만 이날 터치한 코스피 3000은 그동안 꿈의 숫자로 여겨졌다. 최근 5년간 1800~2200대에 머무른 ‘박스피’로 옴짝달싹 못 했던 것을 감안하면 격세지감이다. 1983년 출범한 코스피가 1000선에 오른 것은 89년 3월 31일이다. 18년 3개월이 흐른 2007년 7월 25일(2004.22)에 2000선을 밟았지만 하루 천하에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으로 추락과 반등을 거듭했다.

코스피 역대 기록.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코스피가 역사적인 3000시대를 열게 된 원동력은 시중에 흘러넘치는 유동성이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둔화를 막기 위해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시중에 막대한 유동성을 쏟아내면서 자산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여기에 초저금리와 달러 약세 등의 영향으로 투자자금이 유입되며 상승 동력은 이어졌다.

시장을 이끈 건 새로운 게임체인저로 등장한 개인투자자, 이른바 동학개미다. 외국인과 기관이 쥐락펴락했던 증시 주도권을 개인이 나눠 갖게 됐다.

동학개미의 파워는 숫자로 확인된다. 개인투자자는 지난해에만 국내 증시에서 63조원 어치의 주식을 사들였다. 코스피에서만 47조원가량의 주식을 담았다. 새해 들어서 동학개미의 기세는 더욱 거침없다. 올해 들어 사흘간 코스피에서만 개인투자자는 3조8000억원 어치의 주식을 쓸어담았다.

개인투자자가 끌고 미는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두둑한 실탄으로 무장한 상태라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시 주변 자금은 지난 5일 기준 209조원에 이른다. 증시 대기자금인 투자자예탁금(69조4409억원)은 지난 5일 기준 70조원에 육박하며 사상 최대치로 늘었다. 1년 전의 2배로 늘었다.

6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종가 지수 2968.21이 표시되고 있다. 임현동 기자/20210106

자금 유입 규모와 속도는 무서울 정도다. 지난 4일 하루에만 유입된 투자자금도 5조4000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12월 한 달간 신규유입액(6조7000억원)의 80%가량이 하루에 쏠려 들어온 셈이다. 개인투자자가 주식투자를 위해 증권사에서 빌린 돈인 신용융자잔고(지난 5일 기준 19조6241억원)도 20조원의 턱밑까지 다다랐다. 지난달 24조원가량 늘어난 가계 신용대출도 증시로 흘러들었을 것으로 분석된다.

스마트머니를 중심으로 한 1차 머니무브에 이은 증시로의 추가 쏠림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신상현 삼성증권 목동WM지점 지점장은 “지난해 3월과 비교해 내방고객이 크게 늘며 창구 직원들이 잠시도 자리를 비우기 어렵다”며 “지난해 상반기에 스마트 개미들의 1차 머니무브가 이뤄졌다면, 최근에는 고객의 연령대와 자산 규모도 다양해지면서 2차 머니무브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의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의 코스피 강세가 코로나19 이후 국내 기업의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와 수출 회복세 등을 감안한 행보라고 하더라도 과열 우려도 배제할 수 없어서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투자전략부장은 “대형주와 대표주 위주로 투자에 나서는 동학개미의 움직임 속에 6개월 만에 100~200% 오른 종목이 속출하면서 상승장을 나만 놓치는 것 아니냐는 ‘포모(FOMO·Fear Of Missing Out)증후군’에 빠진 자금도 들어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각종 규제로 부동산 투자 등의 길이 막히며 증시판 ‘패닉 바잉’이 나타난다는 시각도 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주가가 너무 빨리 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있지만 이 흐름에서 소외돼서는 안된다는 양가적 감정이 작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며 “유동성의 풍선효과로 볼 수 있는 현재의 주가 강세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금리가 오르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코스피가 30%가량 오르는 등 쉼 없이 달린 탓에 일시적인 조정은 받을 수 있지만 추세적으로 상승 흐름은 이어갈 것이라는 게 시장의 지배적인 분위기다. 정명지 팀장은 “3000대 안착에는 실패했지만 최소한의 가격과 기간 조정을 거친 뒤 다시 돌파를 시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현옥ㆍ윤상언 기자 hyunock@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