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3000 시대..은행 예·적금 깨고 파킹통장에 돈 대기중(종합)

박선미 2021. 1. 6. 15: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대 은행 예·적금 잔액 대거 빠져나가..지난달에만 7조6000억 급감
대기자금 성격 요구불예금은 16조원 급증
주식시장 향한 머니무브 가속 분석..자금쏠림, 금융리스크 우려도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김효진 기자]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3000선을 돌파한 가운데 5대 은행의 예ㆍ적금 잔액이 지난 한 달간 7조6000억원 가량 빠져나갔다. 지난해 6월을 제외하면 1년 중 가장 큰 감소폭이다. 반면 언제든 이동할 수 있는 요구불예금에는 16조원 이상 돈이 몰렸다. 초저금리로 메리트가 떨어진 예ㆍ적금 대신 수익률이 높은 주식시장으로 머니무브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ㆍ신한ㆍ하나ㆍ우리ㆍNH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예ㆍ적금 잔액은 총 673조7286억원으로 1년 새 12조원 가까이 급감했다. 특히 코스피 상승세가 가팔랐던 11월 이후 감소폭도 컸다. 12월 예ㆍ적금 잔액은 전월 말 대비 7조5832억원 줄었다. 이는 부동산 '영끌(영혼까지끌어모음)' 매수 열풍으로 10조1690억원의 자금이 이탈했던 지난해 6월을 제외하면 일년 새 가장 많이 줄어든 수치다.

반면 '투자 대기자금' 성격의 요구불예금은 큰 폭 증가세를 이어갔다.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요구불예금 잔액은 582조1680억원으로 전월 566조1113억원에 비해 16조567억원 급증했다. 16조3830억원 증가한 11월에 이어 2개월 연속 16조원 이상 늘어난 것이다.

공모주 청약에 일시적으로 자금이 대거 투입된 10월 2조8581억원이 감소한 이후 32조원 넘는 돈이 대기처에 쌓였다는 의미다. 요구불예금은 입ㆍ출금이 자유로운 대신 이자율이 낮아 마땅히 갈 곳을 찾지 못하는 돈의 대기처로 여겨진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기처에 돈이 많이 쌓였다는 건 머니무브가 그만큼 빨라지고 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면서 "증시를 겨냥한 채 뛰어들 시기를 저울질하는 자금이 적잖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로 예ㆍ적금이 매력을 잃고 유동성이 역대 최대치로 확대된 만큼 돈이 이리저리 떠다니는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 기준 통화량(M2ㆍ평잔)은 3150조5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34조7000억원(1.1%) 불어났다. 전년 같은 시기에 견주면 277조6100억원(9.7%) 늘었다. 금융투자협회 집계를 보면 증시 대기자금 성격의 투자예탁금은 지난달 말 65조5227억원으로 전월보다 약 4조원 뛰어올랐다.

소득 상위 10~30% 자산서 주식 비중 확대

시장에서는 0%대 이자에 돈이 묶이는 예ㆍ적금 보다는 상승 분위기가 달아오른 주식, 부동산 시장에 투자하는 게 낫다는 인식이 형성되고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최근 발행한 '대중부유층의 자산관리'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 상위 10~30% 계층의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주식 비중 확대였다.

금융자산 중 예ㆍ적금 비중(45.0%)이 지난해보다 5.0%포인트 감소한 반면 주식 비중(15.4%)은 3.0%포인트 높아졌다.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2019년 1862명에서 지난해 2099명으로 11.3% 늘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시중에 유동성이 많이 풀린 상황이어서 '투자 대기자금' 증가세와 주식, 부동산 시장의 활황이 당분간 계속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새해 벽두부터 한 목소리로 자산시장으로의 '유동성 쏠림' 현상을 경고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가계부채가 처음으로 국내총생산(GDP)를 넘어설 정도로 불어나 유동성 쏠림 현상이 금융시장 리스크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송민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주식 등 금융자산 가치하락, 주택가격 하락, 고용악화에 따른 가계소득 감소 등 위험요인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되고 각각의 요인들이 다양한 국지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어 세밀한 리스크 대응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김효진 기자 hjn2529@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