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대 '윤스테이'가 추구할 '웃음과 안식'에 대해

류지윤 2021. 1. 6. 10: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세희 PD "'윤스테이'가 따뜻한 온기로 머물렀으면"

tvN ‘윤스테이’ 제작진이 첫 영업일을 앞두고 프로그램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전했다.


8일 첫 방송되는 ‘윤스테이’는 한옥에서 한국의 정취를 즐기는 한옥 체험 리얼리티 프로그램. 코로나19로 국가 간 이동이 어려운 요즘이지만, 업무상 발령이나 학업 등의 이유로 한국에 입국한지 1년 미만의 외국인들에게 그간 경험할 수 없었던 한국의 정취를 느끼게 해줄 예정이다.


6일 공개된 1회 예고편에서는 대망의 첫 손님 등장과 함께 분주해진 윤스테이의 전경이 담겼다. 윤여정을 비롯해 이서진, 정유미, 박서준, 최우식 등 그동안 나영석 PD와 함께 편안함을 선사했던 이들이 등장한다.


‘윤식당’ 시리즈가 해외를 배경으로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맛과 문화를 알렸다면, ‘윤스테이’에서는 전라남도의 한옥에서 국내 거주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정과 아름다움을 보여줄 전망이다.


프로그램의 연출을 맡은 김세희 PD는 “‘윤스테이’가 제목처럼 시청자분들께 힐링을 선사하는 ‘따뜻한 온기’로 머물렀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아래는 tvN을 통해 전해온 김세희 PD와의 일문일답이다.


Q. 한옥 체험 리얼리티 '윤스테이'를 기획하게 된 과정이 궁금합니다.


- ‘윤식당’의 새로운 시즌을 준비하던 중, 코로나 19가 점점 심해졌습니다. 고민이 많아지던 중 학업이나 업무상의 이유로 어쩔 수 없이 한국에 들어왔지만, 코로나19로 인해 한국 문화를 제대로 체험해보지 못한 외국인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좀 더 좋은 시기에 입국했더라면 다양한 경험을 할 그들에게 한국의 미와 운치를 제대로 알려주고자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켜가며 촬영을 완료했으니, 많은 시청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Q. ‘윤스테이’는 ‘윤식당’과 다른, 새로운 포맷의 프로그램입니다. '윤스테이'만의 차별 포인트는 어떤 것일까요?


- 가장 다른 점은 식당이 아닌 호텔이라는 점, 그리고 어마어마하게 커진 스케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손님의 한 끼만 책임지면 됐던 ‘윤식당’ 시리즈와 달리 ‘윤스테이’에서는 손님의 체크인부터 룸 컨디션 관리, 저녁과 아침 식사 준비 등 신경 쓸 게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덕분에 촬영을 종료할 때까지 출연진들 모두 큰 규모의 윤스테이를 쉴 틈 없이 뛰어다녔습니다. 단품 음식을 선보였던 ‘윤식당’과 달리 에피타이저-메인-밥과 국-디저트까지, 음식도 코스요리로 한층 업그레이드되면서 주방도 더욱 분주해졌습니다. 게다가 손님들의 아침 식사를 준비해야 하니, 윤여정, 이서진, 정유미, 박서준, 최우식은 매일 아침 6시 반에 일어나 하루를 시작했습니다. 이전보다 더 바쁘고 정신없는 윤스테이 임직원들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Q. '윤식당' 시리즈를 함께한 윤여정, 이서진, 정유미, 박서준에 이어 막내이자 인턴으로 최우식이 합류했습니다. 이들의 활약은 살짝 예고해 준다면?


- 정유미는 주방장, 박서준은 부주방장으로 승진해 복잡하고 어려운 궁중요리까지 환상의 호흡으로 잘 해냈습니다. 처음에는 우당탕탕 실수도 많았지만, ‘경영의 신’ 이서진의 체계적인 관리 감독하에 멘붕에 빠질 뻔했던 윤스테이의 운영 체계도 잘 자리 잡게 됐습니다. 뛰어난 영어 실력의 윤여정 선생님은 ‘오프라 윤프리’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로 매번 거의 미니 토크쇼를 펼치셨습니다. 최우식은 주방보조이자 벨보이, 픽업맨이자 서빙 담당으로 제일 바쁘게 뛰어다녔습니다. 현장에서 ‘우식아!’라는 말이 가장 많이 들렸는데, 힘든 와중에도 분위기 메이커로서 모두의 귀여움을 듬뿍 받는 막내로 활약했습니다.


Q. '윤스테이'에는 한국에 거주한지 1년 미만의 외국인들이 손님으로 등장합니다. '1년 미만'이라는 제한을 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코로나19로 인해 아직 한국 문화를 제대로 체험해보지 못한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정취를 즐기게 해주고자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된 만큼, ‘국내 거주 1년 미만의 외국인’이 프로그램의 컨셉을 잘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 참가 대상 기준을 정하게 되었습니다.


Q. 코로나19 때문에 한국의 정취를 즐기지 못했던 만큼 손님들의 반응도 남달랐을 것 같습니다. '윤스테이'를 방문한 손님들의 반응은 어땠나요?


- 코로나19로 외출이 힘든 시기에 뜻깊고 흥미로운 경험을 해서 좋았고 특히 따뜻한 한옥 바닥에서의 하룻밤이 인상적이었다는 반응이 많았습니다. 비단 이불과 한옥의 나무 창살, 전통 놀이 등 한국의 아름답고 재미있는 문화와 연예인인 줄 몰랐던 ‘윤스테이’ 출연진들의 프로페셔널한 서비스도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한국에서 태어난 네팔 아기 손님이 윤스테이에 와서 처음으로 새 소리를 듣게 된 에피소드도 인상에 남습니다.


Q. '윤스테이'가 시청자들에게 어떤 프로그램이 되길 바라시나요?


-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삶이 팍팍해지고 모두가 지쳐가고 있습니다. 마음의 여유를 잃고 힘들어하시는 분들이 아름다운 자연과 한옥의 미, 그리고 그 안에 피어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고 즐기며 잠시나마 웃음과 마음의 안식을 되찾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윤스테이’가 프로그램 제목처럼 시청자분들께 힐링을 선사하는 ‘따뜻한 온기’로 머물 수 있길 바랍니다.

데일리안 류지윤 기자 (yoozi44@dailian.co.kr)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