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뇨 보이면.. 비뇨의학과 의사 62%, '암' 가능성 1순위로 고려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2020. 12. 21. 10: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혈뇨가 보이면 비뇨기암 발병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

대한비뇨의학회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62%가 혈뇨 환자 진료 시 방광암 등의 비뇨기암 발병 가능성을 1순위로 염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혈뇨 환자 진료 시 비뇨의학과 전문의는 유병률 높은 양성질환(방광염 등)보다는, 유병률 낮지만 치명적 질환인 비뇨기암(방광암 등)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한비뇨의학회 설문조사 결과
혈뇨 진료 현황 및 인식 인포그래픽/대한비뇨의학회 제공

혈뇨가 보이면 비뇨기암 발병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

대한비뇨의학회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62%가 혈뇨 환자 진료 시 방광암 등의 비뇨기암 발병 가능성을 1순위로 염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뇨 환자 진료 시, 방광암 고려

대한비뇨의학회는 지난 10~11월 전국에 있는 비뇨의학과 전문의 250명, 가정의학과 · 내과전문의 188명을 대상으로 ‘혈뇨 진료 현황 및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혈뇨 환자를 진료 시 주로 고려하는 질환이 무엇이냐(1순위)는 질문에 대해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58%가 방광암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신우요관암 2%, 신장암 1.6%, 전립선암 0.4%라고 응답해 비뇨기암을 1순위로 고려하는 비율은 총 62.0%에 달했다. 이는 혈뇨 환자 진료 시 비뇨의학과 전문의는 유병률 높은 양성질환(방광염 등)보다는, 유병률 낮지만 치명적 질환인 비뇨기암(방광암 등)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대한비뇨의학회 박관진 홍보이사(서울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는 “혈뇨는 방광암, 신우요관암을 비롯한 비뇨기암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로, 전문의들은 혈뇨 환자를 진료할 때 비뇨기암 발병 위험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후, 암 발병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치료 접근법을 따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혈뇨 환자, 방광 내시경 해봐야

혈뇨가 방광암 발병과 연관돼 있고, 고령화로 인해 우리 사회의 방광암 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혈뇨 환자에게 방광 내시경 검사를 실시해 혈뇨의 원인과 암 발병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번 설문 조사에서 비뇨의학과 전문의의 75.2%가 방광내시경 검사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 24.8%는 방광내시경 검사를 전혀 시행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특히, 비뇨의학과 의원에 소속된 전문의의 경우 56.6%가 방광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방광내시경 검사를 하지 않는 비뇨의학과 전문의(n=62)들은 침습성(62.9%)과 낮은 수가(45.2%)를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중복응답 기준)

한편, 설문에 참여한 비뇨의학과 전문의들 중 연성방광내시경 검사를 시행하고 있는 비율은 전체의 56%였으며, 비뇨의학과 전체 응답자의 88.4%는 부드럽게 휘어지는 재질로 만들어져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키는 연성방광내시경 검사의 도입이 가능해 진다면, 방광내시경 검사가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다.

박관진 홍보이사는 “최근에는 환자의 통증과 불편감을 감소시킨 연성방광경 검사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혈뇨가 있다면 비뇨의학과에 가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며 “다만 아직 연성방광내시경 검사의 수가가 상대적으로 낮고, 장비를 설치 및 유지하는데 경제적 부담이 된다는 점이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라고 덧붙였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