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따라 한걸음 내디디니.. 저만치 가을 저무는 소리

남호철 2020. 11. 25. 18: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관광공사 선정.. 늦가을 정취 만끽 '11월의 걷기좋은 여행길'

겨울이 성큼 찾아왔다. 구름 한 점 없는 청명한 가을 하늘을 보내기 아쉬워 한국관광공사는 ‘늦가을의 정취를 느끼며 걷는 길’을 테마로 11월 걷기 좋은 여행길을 선정했다. 충북 단양 소백산자락길 6코스 온달평강로맨스길, 인천 강화나들길 16코스 서해황금들녘길, 제주 서귀포시 한남리 머체왓 숲길, 울산 울주 영남알프스 하늘억새길 3코스 사자평 억새길 등이 추천됐다.

온달평강로맨스길

한국관광공사 선정 '늦가을의 정취를 느끼며 걷는 길'에는 인적이 드문 숲길, 억새를 실컷 볼 수 있는 길도 포함돼 있다. 시원하다 못해 차가운 바람을 맞으며 걷다 보면 마음의 여유가 찾아온다. 온달 장군의 무용담으로 알려진 충북 단양군 온달산성. 한국관광공사 제공

경북 영주시에서 시작해 충북 단양군으로 이어지는 소백산자락길은 늦가을 나들이객의 마음과 발길을 사로잡는 길이다. 총 11개 코스로 이뤄져 있으며 특히 6코스인 ‘온달평강로맨스길’은 늦가을의 절경을 뽐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온달평강로맨스길은 보발재에서 시작해 방터, 온달산성 등을 지나 영춘면사무소까지로 전체 약 13.8㎞다. 성인 걸음으로 4시간 정도 소요된다. 코스는 비순환형으로 단양 시외버스 공용터미널 인근 다누리센터 앞 정류장에서 보발리행 버스를 타고 출발지 근처까지 갈 수 있다.

출발지인 보발재는 고드너머재라고도 불린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한 관광사진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굽이굽이 단풍길’로 유명하다. 길 중반부에선 화전민촌이 있는 방터 주변을 지난다. 불을 놓아 들풀과 잡목을 태운 뒤 땅을 개간해 농사를 짓던 화전민 생활을 느껴볼 수 있다. 길 후반부에 있는 온달관광지는 온달 장군과 평강 공주의 전설을 테마로 꾸민 곳이다. 드라마 ‘연개소문’ ‘태왕사신기’ ‘천추태후’ 등의 촬영지다. 이곳 황궁 안에서는 온달과 평강이 살았던 시대의 의복을 입어보고 사진 촬영도 가능해 타임슬립 여행으로 제격이다. 영춘면 상리에 있는 영춘면 사무소에 도착하면 길은 끝난다. 영춘마을은 작지만, 좌측으로 남한강 줄기와 소백산의 절경을 함께 만끽할 수 있다.

서해황금들녘길

인천 강화군 창후리선착장 뒤 붉게 물든 칠면초. 한국관광공사 제공

강화나들길 16코스는 13.5㎞ 남짓 되는 길로 창후여객터미널을 시작으로 계룡돈대-용두레마을-덕산산림욕장-외포여객터미널로 이어지는 비순환형길이다. 바다, 평야, 산을 두루 경험할 수 있는 길이다. 출발지점인 창후여객터미널 뒤편 길을 걸으며 붉게 물든 칠면초와 길 곳곳에서 억새들을 만날 수 있다. 제방길 중간에는 해안선 방어를 위해 만들어진 망월돈대와 계룡돈대를 볼 수 있다. 주변 풍경이 매우 아름답다. 계룡돈대가 망월돈대보다 조금 더 높은 위치에 있으니 이곳에서 주변 풍경을 보는 편이 더 좋다. 덕산산림욕장은 초입의 가파른 길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걷기 무난해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다. 도착 지점인 외포항은 먹거리와 볼거리가 많다. 젓갈 수산시장, 카페, 횟집, 음식점 등이 즐비하다.
한남리 머체왓숲길

미지의 세계로 떠나는 듯한 제주도 서귀포시 머체왓숲길. 한국관광공사 제공

제주는 바다만큼 숲 여행지로도 유명하다. 유명한 사려니숲길, 절물자연휴양림, 비자림 외에도 화순곶자왈, 보롬왓 등 사진찍기 좋은 장소로 알려진 숲길이 많다. 그 중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 머체왓숲길은 아직은 조금 덜 알려져 있어 다른 곳보다 더 여유롭게 숲길을 걸을 수 있다.

머체왓숲길은 머체(돌이 엉기정기 쌓이고 잡목이 우거진 곳)로 이뤄진 밭(왓)을 일컫는 제주 방언에서 비롯됐다. 초원과 삼나무·편백 등이 어우러진 울창한 원시림을 비롯해 긴 하천인 서중천 계곡까지 끼고 있는 이 길은 제주의 자연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곳이다. 머체왓숲길은 곶자왈처럼 나무와 덩굴식물, 암석 등이 뒤섞여 있어 발바닥과 발목이 아플 수 있으니 간편한 옷차림에 트레킹화나 운동화가 적당하다.

마지막 구간의 서중천 습지에서부터는 왼편에 서중천을 끼고 내려오게 된다. 바다를 보며 걷는 일이 많은 제주인 만큼 숲에서 냇물을 벗 삼아 걷는 건 또 다른 매력이다.

사자평 억새길

억새 군락지 너머 우뚝 솟아있는 암벽 구간이 거친 산세의 매력을 뽐내는 울산 울주군 사자평 억새길. 한국관광공사 제공

천황산(1189m)을 필두로 재약산(1108m), 간월산(1015m), 신불산(1209m), 영축산(1059m), 가지산(1204m), 운문산(1188m), 고헌산(1032m), 문복산(10147m)까지 해발고도 1000m 넘는 산들이 모여 능선의 물결을 이룬다. 8, 9부 능선 곳곳 끝없이 펼쳐진 평야엔 가을바람에 일렁이는 억새가 장관이다. 오후의 햇빛이 더해지면 찬란한 금빛으로 물들며 감동을 전한다. 대한민국 최대 억새 군락지 영남알프스 사자평원이다. 가을을 대표하는 명품 산행길 ‘하늘 억새길’은 사자평원을 지난다. 하늘, 억새, 바람, 단풍, 운무 등의 테마로 이뤄진 하늘 억새길은 1구간 억새 바람길부터, 2구간 단조 성터길, 3구간 사자평 억새길, 4구간 단풍 사색길, 5구간 달오름길까지 5개 구간, 29.7㎞로 이뤄진 순환형 탐방로이다. 사계절 내내 수려한 풍광으로 등산객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특히 색동옷을 입은 단풍과 가을바람에 흔들리는 억새의 춤사위를 볼 수 있는 추경을 으뜸으로 꼽는다. 울주의 바람에 따라 몸을 흔드는 갈대를 따라 걷다보면 죽전마을에서 재약산 정상을 지나 천황산 정상까지 오르게 된다. 한눈에 다 담을 수 없을 정도로 수려한 산세를 자랑하지만 급경사 구간과 계단길이 있는 다소 험한 코스라 마음의 준비를 단단히 해야 한다.

남호철 여행전문기자 hcnam@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