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 센추리 스타일의 신혼집 인테리어

2020. 11. 24. 00: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터 람스와 미드 센추리 스타일에서 영감받은 신혼집 인테리어는 두 사람의 취향과 삶의 가치라는 필터를 거쳐 새하얗고 정돈된 공간으로 탄생했다.
가장 시간을 많이 보내는 거실은 텔레비전을 없애고 빔 프로젝터로 대신했다. 소파 앞 테이블은 이사무 노구치가 디자인한 것으로 Vitra. 빈티지 스탠드 조명은 Reggiani. 벽에 달린 스피커는 Bang&Olupsen.
통일감과 개방감을 주기 위해 집 안 전체에 같은 타일 바닥을 깔았다. 노란 신발장은 제작한 것.
최대한 열린 느낌을 주고 싶어 반투명의 폴딩 도어를 설치했다.
연보라색 소파가 하얀 공간에 색감을 더한다. 암체어는 Erik Joergensen.
우드와 세라믹, 스테인리스스틸의 세 가지 소재가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주방. 조명은 빈티지 제품.
침대 옆에 쌓아둔 책들은 데커레이션뿐 아니라 사이드 테이블의 역할도 한다. 조명은 빈티지 제품. 침대는 Herman Miller.
베란다 벽을 허물어 휴식 공간을 만들었다. 체어는 Pierre Paulin.

서로 다른 인생을 살아온 두 사람이 부부의 연을 맺고 한 공간을 공유하며 살아가는 것은 꽤 대단한 일이다. 옷을 벗어두는 곳, 치약을 짜는 모양 등 사소한 것 하나하나까지 부딪히게 되는 것이 현실이니까. 어쩌면 각자 가진 취향의 문제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지점이 신혼집일런지도 모른다. 아이웨어 브랜드 젠틀 몬스터의 디자이너인 신정인과 연남동에서 딩가 케이크를 운영하고 있는 허은미 부부의 공간에서는 비슷한 취향과 습관을 가진 두 사람의 만남이 얼마나 멋들어진 공간을 만드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둘 다 밖에 물건이 나와있는걸 못 참는 성격이라 곳곳에 수납공간을 만드는 것에 신경썼어요. 군더더기 하나 없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었거든요.” 남편 신정인의 말을 증명하듯 현관문을 열고 집 안에 들어서는 순간 눈앞에 탁 트인 공간 전체가 한눈에 들어온다. 현관을 가로 막고있던 벽을 허물고 통유리를 설치해 시각적 확장을 고려한 선택도 인상적이다. “현관에 들어서자마자 기분이 좋아지는, 개방감이 느껴지는 집을 원했거든요. 그래서 문턱을 없애고 현관부터 거실, 화장실까지 같은 타일로 바닥을 마감했죠. 집안의 벽도 모두 다 없애고 싶었는데 몇몇은 아파트의 내력벽이라 철거할 수 없더라고요.” 공간의 통일감을 불러일으키는 정사각형의 화이트 타일 바닥재는 디터람스의 집을 참고했다. “흔한 한국 아파트 같지 않은 집을 만들고 싶었는데, 바닥의 타일이 그 느낌을 잘 살려주는 것 같아요. 주변에서 많이 걱정했지만 저희는 단점을 하나도 못 느낄만큼 만족해요.” 눈이 다 시원해지는 화이트 톤의 바닥위에서 간간이 톡톡튀는 컬러들이 위트를 더한다. “전체적으로는 미드 센추리 디자인을 많이 참고했어요. 사실 저는 지금보다 더 모노톤의 공간을 원했는데 몇몇 색감이 눈에 띄는 가구들은 아내의 센스로 고른 것들이에요. 놓고보니 이런 컬러들이 확실히 집안의 생기를 살려주는 것 같아요.”

부엌으로 눈을 돌려보니 우드, 세라믹 그리고 스테인리스스틸 등 각 소재의 조화가 눈에 띈다. “소재를 통일하면 깔끔하겠지만 너무 차가울 것 같았어요. 그리고 부엌 살림의 수납도 생각하다 보니 우드 소재의 장을 하나 짜는 것도 괜찮겠다 싶더라고요. 소재를 믹스매치했더니 훨씬 따뜻하고 재미있는 주방이 된 것 같아요.” 이렇게 하나부터 열까지 디자인적 관점에 맞춰 집을 꾸미다 보니 나중엔 콘센트 구멍 개수까지 신경이 쓰였다고. “보통 콘센트는 2구짜리가 대부분이잖아요. 저희는 그것조차 조잡한 느낌이 들었어요. 그래서 과감히 1구를 막고 한 개만 꽂을 수 있게 만들었죠. 그마저도 평소엔 뚜껑을 닫아둬요(웃음). 실용성도 좋지만 보기에 아름다워야 한다는 게 저희 부부의 첫 번째 기준이에요.” 집이라는 공간에 대한 부부의 고민과 문자 그대로 벽을 허무는 도전이 녹아 완성된 집. 그리고 단정하고 확고한 취향으로 선택한 감각적인 디자인이 곳곳에서 빛나는, 그들의 모습과 너무도 닮은 공간이다.

군더더기 없이 깨끗하게 꾸민 드레스 룸. 콘센트도 깔끔하게 1구로 바꿨다.
침실에서 드레스 룸, 화장실에 이르기까지 바닥에 걸리적거리는 것은 모두 없애고 하나로 이어지도록 통일감을 주었다.
현관에 들어서면 통창을 통해 한눈에 들어오는 작은방. 벽에 달린 조명은 빈티지 제품.
주로 함께 디자인 작업도 하고, 친구들이 놀러 오면 담소를 나누는 공간으로도 사용한다. 소리가 울리지 않고 집중하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어 바닥에 카펫을 깔았다.

Copyright © 엘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