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가 있는 아침] (46) 다 못 쓴 시

2020. 11. 19. 00:1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자효 시인

다 못 쓴 시
유재영 (1948∼)

지상의
벌레 소리
씨앗처럼
여무는

다 못 쓴
나의 시
비워 둔
행간 속을

금 긋고
가는 별똥별
이 가을의
저 은입사(銀入絲)!

- 한국대표명시선100 ‘변성기의 아침’

일물일어(一物一語)의 시인

시의 계절 가을. ‘가을 시’ 연작 두 번째 작품이다. 가을밤의 풍경을 직정적(直情的)으로 그렸다. 이를 시인의 시적 심상(心象)과 연결함으로써 그림 같은 격조 높은 시가 되었다. 은입사란 청동이나 주석 등에 새겨 넣은 은줄이다. 국보 92호로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이 있다. 별똥별의 흐름을 은입사로 본 시인의 눈이 얼마나 섬세하고 정교한가.

프랑스 작가 귀스타브 플로베르는 “하나의 사물을 지적하는 데는 단 하나의 적절한 명사가 있다”는 일물일어설(一物一語說)을 주창했다. 유재영 시인은 ‘금긋고 가는 별똥별’을 지적하는데 ‘가을의 은입사’란 단 하나의 명사를 찾아낸 것이다. 중학교 국정교과서에 시조 ‘둑방길’이 수록되었다.

유자효(시인)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