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대 꽂아 쪽쪽' 팩음료 사라지나.."아이들 먹기 힘들어" vs "환경생각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음료 제품에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부착을 금지하는 내용의 규칙 개정안이 마련돼 앞으로는 음료에 부착된 일회용 빨대를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8일 환경부는 최근 '제품의 포장 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고 밝혔다.
또한, 수송 목적의 종이 포장재에 금속박이나 비닐류를 접합·도포·부착하는 행위와 함께 음료 제품에 (플라스틱) 빨대를 부착하는 행위를 금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최은영 기자] 음료 제품에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 부착을 금지하는 내용의 규칙 개정안이 마련돼 앞으로는 음료에 부착된 일회용 빨대를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8일 환경부는 최근 '제품의 포장 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내달 9일까지 의견을 수렴한 후 논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는 포장재에 불필요한 잡자재를 부착하는 행위가 포장재의 재활용 자체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자원 낭비 등의 문제도 초래해 이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개정안 내용을 보면, 먼저 제품을 포장할 때는 재활용이 쉬운 포장재를 활용하고 제품을 수송하기 위해 포장을 하면 합성수지 재질이 아닌 테이프 및 완충재를, 고흡수성 수지가 아닌 소재가 냉매로 든 아이스팩 사용을 권고했다.
또한, 수송 목적의 종이 포장재에 금속박이나 비닐류를 접합·도포·부착하는 행위와 함께 음료 제품에 (플라스틱) 빨대를 부착하는 행위를 금지했다.
이와 함께 택배 포장 시 과대포장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 포장의 경우 포장 공간 비율을 50% 이하, 포장 횟수는 1회 이내로 제한했다. 이 제도는 제조 또는 수입되는 제품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음료 제품에 플라스틱 빨대 부착을 금지한 것과 관련해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뜨거운 찬반 논쟁이 벌어졌다.
일부 누리꾼은 "환경을 생각해 어떻게든 줄여야 한다", "조금은 불편하지만 환경보호와 자원절약 차원에서 좋은 결과를 기대해본다"라며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최근 온라인 상에서는 "빨대는 반납합니다"라며 매일·남양 유업을 상대로 글루건으로 상품에 붙은 빨대를 반납하는 캠페인을 벌이는 소비자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한편 이를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아이들의 경우에는 빨대가 없으면 음료를 마시지 못한다.", "매번 칼이나 가위로 자르기는 어렵다" 등의 이유로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반발을 인지하고 있으며 입법 예고 기간에 충분히 의견을 수렴하겠다며 "플라스틱 빨대 대신 종이 빨대를 부착한다든지 빨대를 매대에 놔둬 필요한 사람만 갖고 가게 하는 등 다른 방안을 계속 권고하고 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최은영 인턴기자 cey1214817@asiae.co.kr
Copyright©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교 1등 소년가장' 김홍일, 백종원 가정교사였다 - 아시아경제
- 이재용, 시민들 향해 웃으며 "왜 이렇게 아이폰이 많나요" - 아시아경제
- 하루아침 388억 돈방석…'블랙핑크 완전체'에 양현석 웃었다 - 아시아경제
- 300만원 찍었던 명품 협업폰 가격 뚝…되팔이꾼 낭패 - 아시아경제
- "연말엔 통뱃살 참치회·초밥 파티"…참다랑어값 '반토막' - 아시아경제
- "여자애한테 남자이름 쓰지마…콤플렉스 생겨" 강제하는 '이 나라' - 아시아경제
- "시동 꺼져도 2~3시간 배터리 온도 체크"…전기차 화재 우려 덜어낸다 - 아시아경제
- '서울의봄' 반란군에 맞서다 숨진 병장…조선대 명예졸업장 받는다 - 아시아경제
- 한동훈·이정재 사진에 대상홀딩스우 '7上'…누가 거래했나 보니 - 아시아경제
- "놀랬제, 나도 이런 우박은 처음이데이" 부산 밤새 화들짝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