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日 방역물품지원 논란' 경주시, 방사능 방호복 폐기하고 '마스크'로 대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월성원전을 끼고 있는 경북 경주시가 마을회관 등에 비치해 둔 레벨D급 방호복을 모두 회수하고, '특급 마스크'로 이를 대체하는 새로운 '원자력 방사능 피폭대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경주시 관계자는 "방사능누출사고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돼야할 주민보호조치는 안전지역으로의 신속한 주민소개(疏開)"라며 주민 대피시 방호복·방독면 착용은 시간 지연으로 오히려 부작용만 더 클 수 있다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지난 2015년도 권고 사안을 소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월성원전 반경 25km 구간 5만5000명 분량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박동욱 기자] 월성원전을 끼고 있는 경북 경주시가 마을회관 등에 비치해 둔 레벨D급 방호복을 모두 회수하고, '특급 마스크'로 이를 대체하는 새로운 '원자력 방사능 피폭대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5월 별다른 대안 없이 일본에 방역물품을 대량으로 공급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았던 경주시가 지역민들의 불안감을 덜어주려는 소통 없이 또다시 주낙영 시장 독단적 판단에 따라 이같이 결정한 것으로 알려져, 또다른 논란이 예상된다.
30일 경주시 등에 따르면, 최근 경주시는 한 마스크 업체와 '특급방진 마스크'를 개당 4600원씩 5만5000개를 구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물량은 월성원자력발전소(월성원전)의 반경 25㎞ 안에 있는 시민 숫자(5만5000여명)에 맞춘 것이다.
경주시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승인 아래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의 범위를 25㎞로 설정해 놓고 있다. 이 범위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피해지역이 30㎞를 넘은 것과 관련, 더 넓어져야 한다는 시민단체의 목소리에도 계속 유지돼 오고 있다.
경주시는 마스크가 제작되는 연말께 이 마스크를 지역 경로당과 마을회관에 분산 비치할 방침이다. 대신에 이들 장소에 그간 보관돼 있던 레벨D급 방호복은 모두 회수된다. 레벨D급 방호복은 전신보호복과 마스크, 장갑, 덧신 등 4개 물품으로 구성된다. 앞으로 이같이 세트로 돼 있던 '방사능 피폭 대처 장구'가 마스크 하나로 줄어드는 셈이다.
이와 관련, 경주시 관계자는 "방사능누출사고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돼야할 주민보호조치는 안전지역으로의 신속한 주민소개(疏開)"라며 주민 대피시 방호복·방독면 착용은 시간 지연으로 오히려 부작용만 더 클 수 있다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지난 2015년도 권고 사안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고리원전 인근 부산 기장군에서도 방호복을 회수한 것으로 확인했다"며 "앞으로 회수되는 레벨D급 방호복를 어떻게 처리할 지는 아직 결정 못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영남취재본부 박동욱 기자 pdw1201@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핏 좋다"·"성관계 많이 해봐"… 수업 중 막말한 교사, 징역 2년 구형 - 아시아경제
- 유명 베이커리 '반값'에 수백명 몰렸다…22만명 이용하는 '럭키밀'[빵값의 비밀] - 아시아경제
- "에어컨 하루 종일 틀었는데 얼마 안나왔어" 믿었다간…낭패인 이유 - 아시아경제
- 신혼여행 갔다가 '날벼락'…사진 찍던 20대 신부 낙뢰 맞고 사망 - 아시아경제
- '이곳' 털 빠지면 당뇨병 의심해야…"신경 손상 초기 신호일 수도" - 아시아경제
- "비행기에서 커피 절대 마시지 말라" 승무원들 또 나온 '폭로' - 아시아경제
- '약물 운전 논란' 이후 무속인이 이경규에게 한 말은 - 아시아경제
- "이 정도였어?" 주 5일 근무에 월급 571만원…의외의 고수익 직업 - 아시아경제
- "지금 사면 100만원 넘게 이득"…키링 하나에 수십만명 몰렸다 - 아시아경제
- 폭염특보 때 근무하면 유급휴가…'혹서기 휴가 보장법' 나온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