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새 30% 뛴 4대 보험료..소비 여력도 줄었다
서울의 한 중견기업에서 일하는 이모(37)씨. 5년 전 국민연금과 건강·고용·산재보험 등 4대 보험료로 쓴 돈은 연간 240만원 정도였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300만원을 훌쩍 넘었다. 전세보증금은 뛰고, 월급은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했다. 그는 "아이들 교육비가 느는데, 4대 보험료까지 불어나니 다른 소비를 줄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여기에 복지 재원을 4대 보험료로 충당한 정부 정책도 한몫했다. 지난해 8월 시행된 '문재인 케어(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가 대표적이다. 2022년까지 건강보험료를 30조6000억원가량 늘려 병원비 부담에 쓰자는 것이 이 제도의 취지다. 그러나 환자 1~3인용 상급 병실 사용료, 틀니·임플란트 비용까지 건강보험으로 보장하는 내용도 함께 담겨 과잉 복지 논란이 제기됐다. 지난해 전체 국민이 부담한 4대 보험료가 110조6947억원으로 전년보다 6.1% 증가한 것도 이 때문이다.
아동·청년수당 등 정치권이 주도하는 난개발식 복지 정책은 재정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노르웨이·스웨덴 등 북유럽 복지 선진국은 복지 혜택만큼 국민 부담률이 높다. 윤희숙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국내 정치권은 복지 정책을 설계할 때 국민 부담이나 재정 건전성은 제대로 따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 "미래 세대를 위해 복지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세종=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韓방위비 4000억 더 내라" 트럼프 지침에 협상 난항
- 美도 못막은 화웨이폰 질주..올 2억대 팔아 애플 제쳐
- 인력거꾼 "택시 반대" 90년뒤..택시기사 "카풀 반대"
- "빨리 매듭" 당 요구에, 김정호 '공항갑질' 대국민사과
- 해병대 소령 출신 농업인, 낙안면장으로 뽑았다 왜
- 인구 1600명 섬나라 날아간 韓대학생 셋의 무모한 도전
- '동심파괴' 트럼프, 7살에게 "아직도 산타를 믿니?"
- "피묻은 옷 갈아입고 가라"..모친 죽인 그도 아빠였다
- 文에 등돌린 20대男, 원인은 게임? 유시민 발언 논란
- "챙피하다우" 소리친 김정은..靑 방북 뒷얘기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