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김정은 연내 답방, 어려워졌다고 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와대는 1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답방이 어려워졌다고 본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무산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처음이다.
청와대는 연내 답방 무산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도 북측이 답방 시기를 전격 통보해 올 가능성은 열어 두고 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연내 답방 가능성은 여전하고 연락을 기다린다는 입장은 유지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 손선희 기자] 청와대는 1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답방이 어려워졌다고 본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오전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이 같이 말하면서 “무리하게 추진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무산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처음이다.
청와대가 연내 답방을 위한 북측 답방 통보의 ‘데드라인’으로 여겼던 지난 주말까지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하자 올해 답방하는 건 물리적으로 힘들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내년 초 답방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정을 계속 논의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김 위원장의 제주 숙박 가능성에 대해서는 “말도 안 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앞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 출입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에서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은 여러 가지 상황이 고려되어야 하는 만큼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약속한) 평양 공동선언에 대한 두 정상의 이행 의지는 분명하며 구체적인 일정과 절차는 계속 논의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연내 답방 무산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도 북측이 답방 시기를 전격 통보해 올 가능성은 열어 두고 있다.
북측이 김 위원장 출발 직전이나 전날 발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연내 답방 가능성은 여전하고 연락을 기다린다는 입장은 유지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말했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생충 득실득실…날로 먹었다가 암 걸린다는 '이 물고기' - 아시아경제
- 배우 이시영, 결혼 8년만 파경 "합의 이혼 절차" - 아시아경제
- 김새론 유족 "김수현 '살려달라' 문자에 2차 내용증명 발송" - 아시아경제
- 한국 와서 주름 펴고 쌍꺼풀 하고… 외국인, 피부·성형외과서 1兆 썼다 - 아시아경제
- 1160억 재산 해크먼 유언장엔 아내 이름만…세 자녀 상속 어떻게? - 아시아경제
- "4살부터 고시라니…이러니 애 안 낳지" 외신도 경악한 '영유아 사교육' - 아시아경제
- 안세영 또 새 역사…韓선수 최초 '최고 권위' 전영오픈 단식 2회 우승 - 아시아경제
- 한달 초과근무만 113시간…尹 탄핵선고 지연에 경찰들 '완전 녹초' - 아시아경제
- 박지원 "尹을 각하로 부르자?…상감마마·전하 소리 안 나온 게 다행" - 아시아경제
- [단독]'업무과중' 경찰관 죽음에도…1인당 담당사건 늘어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