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화의 생활건축] 서울 지하에 아무개가 산다
한은화 2018. 10. 9. 00:34
임진왜란 당시 불탔던 집, 조선시대 관영 상설점포인 시전(市廛)의 흔적도 땅 밑에 고스란히 있었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매장 문화재에 대한 제대로 된 가이드라인이 없었다. 시전의 유적 일부라도 현장에 남기려 했지만 결국 파내졌다. 터 잃고 조각난 유적은 오랫동안 떠돌다 2009년 서울역사박물관 밖에 자리 잡았다.
최근 1조 1200억 원에 팔려 국내 오피스 빌딩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공평동 신축 빌딩 ‘센트로폴리스’의 지하 1층(사진)에는 서울 최대 규모의 유적전시관이 있다. ‘공평도시유적전시관’(연면적 3817㎡)이다. 재개발 과정에서 발굴된 유적을 전면 보존했다. 건축주는 이를 서울시에 기부채납하는 대신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았다.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을 빼고 대중에게 늘 열려 있다.
전시관에서는 아무개의 삶이 끝없이 펼쳐진다. 그중 명문(銘文)자기가 인상적이었다. 조선시대에는 큰 잔치가 열리면 그릇 품앗이를 했는데 서로 헷갈리지 않게 그릇 뒷면에 먹으로 이름을 썼다. 발굴된 조각에서 ‘정그니’라는 이름이 나왔다. 강자의 이름만 기억되던 우리 역사 속에서 잊힌 이름이다. 하지만 정그니의 삶을 토대로 오늘날의 아무개가 살아간다. 서울의 지하는 아무개들의 삶을 잇는 소중한 기억 창고다.
한은화 중앙SUNDAY 기자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중앙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