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별넷' 명예 추락시켜 놓고..훈장 하나로 달래려는 나라
황기철 전 해군총장, 검찰이 기소
대법원 무죄 나자 정부서 보국훈장
해군 소위로 임관한 1978년부터 2015년까지 37년간 대한민국 영해 수호를 위해 일했다. 한국민이 해적에 잡혀가자 특공대를 투입해 구출했다. 근무지로 찾아오는 부인에겐 버스를 타라고 늘 강조했다. 해군본부가 있는 충남 계룡대 관사에서도 부인은 수㎞를 걸어서 장을 보러 가야 했다. 관용차를 사적인 용도에 쓸 수 없어서였다. 정부가 보국훈장을 주기로 17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 황기철(60) 제30대 해군참모총장 얘기다.
재판부는 무죄 선고 이유에 대해 증거가 부족하고, 범행의도가 있다고 볼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온갖 비난과 손가락질을 받으며 도망치듯 검찰청사를 나설 때를 생각하면 반전이었다.
━ 옥바라지·송사비 위해 집 담보 대출도 하지만 검찰은 유감 표명 한마디도 없었다. 그 사이 옥바라지와 송사 비용을 대느라 집안도 풍비박산이 났다. 집을 담보로 대출을 내야 했고, 직장을 다니던 딸이 퇴직금을 정산해 돈을 보태야 했다. 황 전 총장은 치욕적인 대우를 받았다. 그를 교도소에서 면회했던 한 지인은 “장관급인 참모총장의 경우 독방을 쓰는 게 일반적인데 황 전 총장은 죄수들 여럿과 함께 지냈다”며 “하루는 얼굴에 멍이 들어 있었다”고 전했다.
황 전 총장은 무죄가 확정된 뒤 외부와의 접촉을 끊었다. 대인기피증도 생겼다고 한다. 특히 자신의 친정인 해군 후배들은 “군에 누가 될 수 있다”며 더 만나지 않았다. 그러곤 중국으로 떠났다.
━ ‘세월호 때 통영함 출동 지시한 의인’으로 해군 관계자는 “황 전 총장이 통영함 문제에서 자유로워져 다행”이라고 말했다. ‘해적’ ‘매국노’라고 손가락질을 하던 여론은 어느새 ‘세월호 때 통영함 출동을 여러 차례 지시했던 의인’으로 바뀌었다. 그는 나중에 “통영함을 출동하라고 지시는 했지만, 세월호 사고 현장에 가보니 이미 통영함으로 구조할 수 있는 상황은 지났다”고 말했다. ‘군인은 명예를 먹고 산다’는 말이 있다. 37년간 쌓아 올린 명예를 단숨에 잃어버린 황 전 총장에겐 보국훈장이 어떤 의미일까. 손상된 군인의 명예는 훈장 하나로 다시 주워 담기 어렵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 [속보] 이재용 구속영장 기각…법원 판결 이유는?
▶ 이재용 구속영장 기각한 조의연 판사는 누구
▶ 알파고 바둑 흉내 내는 9단 이창호·커제
▶ 600km 행군에 몸만 고된 반기문···"감동 메시지 없다"
▶ [단독] '정치 후원금' 연말정산 오류에 공제 못 받을 뻔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 정동영 "호남 지지 명예로운 일인데, 안철수는 왜 칩거하나"
- [현장에서] "당신이 대통령 탄핵을 방해하고 있잖아!" "누구더러 당신이래!"
- [현장에서] 여전히 촛불집회 비난하고 대통령 감싸는 친박
- 반기문 칭송곡 '반비어천가' 가사보니.."인류 문명 하나로 만들 거목"
- 사시동기(28회) 이재명과 김진태, 촛불시위현장에서 상극 행보 화제
- "오빠폰에 몰카" 與의원실 비서 여동생이 신고
- 김환기에 이우환까지···300억 경매 나온다
- 은지원, 제주 카페서 6명 모임 논란···"반성"
- '슬의생'이 '슬의생' 했나···장기기증 등록 11배로
- 26살 아이콘 바비 다음달 아빠 된다,깜짝 결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