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통령 적합도' 문재인 두달 연속 1위..안철수 5위 그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차기 대선후보자들의 국가과제를 실현할 적합도 조사에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지난해 12월에 이어 두달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문재인 두달만에 1위 복귀, 반기문과 격차 커져안철수 5위에 그쳐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29일 발표한 '19대 대선주자 국가과제 실현 적합도 1월 조사'에 따르면, 문 전 대표는 26.9%의 지지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박용규 기자] [[the300-리얼미터 여론조사]文, 2위 반기문과 격차 전달보다 더 커져…김무성은 하락세]
차기 대선후보자들의 국가과제를 실현할 적합도 조사에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지난해 12월에 이어 두달 연속 1위를 차지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3개월만에 지지율이 40%가량 감소한 12.4%로 3위였다. 신당 창당으로 전달 지지율이 급등했던 안철수 국민의당 인재영입위원장은 이번달 조사에서 지지율이 크게 떨어져 조사대상 중 5위에 그쳤다.
◇문재인 두달만에 1위 복귀, 반기문과 격차 커져…안철수 5위에 그쳐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29일 발표한 '19대 대선주자 국가과제 실현 적합도 1월 조사'에 따르면, 문 전 대표는 26.9%의 지지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다. 문 전 대표는 지난해 11월 조사이후 지속적으로 지지율이 상승했다.
특히 문 전 대표는 이번 달 조사에서는 21.5%로 2위를 차지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과의 격차가 5.4%p(포인트)로 전달(3.9%p)에 비해 더 커졌다. 반 유엔사무총장의 지지율은 전달에 비해서 1.5%p 상승했다.
3위를 차지한 김 대표는 3개월째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21.1%로 문 전 대표에 근접했던 지지율이 작년 12월 16.9%로 떨어졌고 이번 조사에서는 12.4%로 3개월 만에 지지율이 8.7%p 하락했다.
이번 달 조사에서 전달에 비해 지지율이 가장 크게 감소한 것은 안철수 국민의당 인재영입위원장이었다. 안 위원장의 작년 11월에 5%에서 탈당과 신당을 추진했던 12월에 15.3%로 10%p이상 급등했었지만 이번달 조사에서 4.7%p가 감소한 10.6%를 나타냈다. 전체 순위에서도 12월에 4위에서 5위로 한칸 내려왔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전달 조사에 비해서 3.1%p 상승한 10.7%의 지지를 받아 4위를 차지했다. 종로구 출마를 선언한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작년 11월에 3.8%에서 이번 조사에서 6.7%로 지지율 자체는 높지 않지만 상승세를 이어갔다.
◇차기 대통령 국가과제 '경제성장' 부동의 1위 차기 대통령의 국가과제에 대한 우선성을 묻는 질문에는 경제관련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전체의 절반에 가까웠다.
경제민주화·소득재분배를 해결해야한다는 응답이 28.2%로 가장 높았다. 머니투데이 더300이 '국가과제 우선성 조사'를 실시한 작년 3월 이후 경제민주화·소득분배는 한 차례(8월 조사)만 제외하고 매번 가장 중요한 과제로 꼽혔다..
2위는 국가경제성장 분야로 21.4%였다. 고용증대 분야는 11.7%를 받아 3위로 전달 조사보다 한단계 올랐다. 이는 노동개혁 관련 이슈가 크게 부각된 이번달의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복지증진 분야가 10.7%로 4위를 차지했고 민주주의 발전이 8.2%, 국민통합이 7.6%, 남북평화·통일이 6.6%로 뒤를 이었다.
전체 5개의 세부 국가과제에 대한 적합성 조사에서는 문 전 대표가 국가경제성장(22.8%), 분배(22.2%), 국민통합(25.5%), 민주주의 발전(27.7%) 등 4대 부문에선 1위를 차지했다. 반 유엔사무총장은 남북 평화와 통일 과제에서 32.4%의 지지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1월 26일~27일 이틀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008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자동응답전화(ARS)를 활용해 유·무선전화를 병행한 임의전화걸기(RDD) 방법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3.5%, 표본오차는 ±3.1%p(신뢰수준 95%)였다. 통계보정은 행정자치부 인구통계에 따른 성·연령·권역별 사후 가중을 거쳤다.
박용규 기자 ykpark@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새누리 지지율 상승세, 安신당 출현후 야권 전체 지지율 넘어
- '탈당' 박지원 "안-천 통합 지지..중통합으로 직행해야"
- 남북통일보다 어렵다는 '유보통합' 지지부진..왜?
- 美 "朴 대통령 '5자회담' 지지.."한반도 비핵화 위해 유용"
- 출산 직후 잠자리 거절한 아내…'마약중독' 남편의 복수, 태국 발칵 - 머니투데이
- '병역 기피' 유승준 "실망시킬줄 몰랐다"…데뷔 28년 자축하며 한 말 - 머니투데이
- 박한별, 버닝썬 언급 "죽어야 끝나나 생각…시댁 이혼 권유도" - 머니투데이
- 120억→110억…김수현 '김새론 유족' 상대 손배소, 재판부 배당 - 머니투데이
- '이혼 9년 차' 박은혜 "전남편과 매일 통화, 재혼 가능성은…"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