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셋째아들 김홍걸 "김대중·노무현 두 분을 나눠선 안돼"

2016. 1. 24. 19: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대중 정신과 노무현 정신이 합쳐진 60년 야당의 정통 본류입니다. 더 이상 김대중, 노무현 두 분을 나눠서는 안 됩니다."

김 교수는 얼마 전 김한정 예비후보의 출판기념회에서 축사를 할 때 박지원 의원이 맨 앞줄에 앉아 있는데도 "지금 김대중 정신은 분열, 탈당이 아니라 통합, 단결"이라고 강조해 둘 사이에 묘한 긴장감이 흐르기도 했다는 게 참석자들의 얘기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더민주 당대표실서 회견
“동교동계 어른들 분열 일삼아
나라도 나서서 바로잡아야
불출마하려했으나 당이 만류”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국회 당대표실에서 기자회견을 연 김홍걸 연세대 객원교수(맨 오른쪽)를 소개하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셋째 아들인 김 교수는 “분열의 이름으로 아버님을 말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대중 정신과 노무현 정신이 합쳐진 60년 야당의 정통 본류입니다. 더 이상 김대중, 노무현 두 분을 나눠서는 안 됩니다.”

24일 더불어민주당 대표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셋째 아들인 김홍걸 연세대 객원교수가 기자회견을 하는 동안 벽에 걸린 김 전 대통령의 눈길은 마치 아들을 지켜보는 듯했다. 애초 사진 각도를 그렇게 맞춘 것이지만 이날처럼 효과가 극대화된 적은 없었을 것이다.

김 교수가 특히 강조한 점은 “분열의 이름으로 아버님을 말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분이 하늘에서 눈물을 흘리실 것입니다”에 모아져 있다. 드러내놓고 말하지는 않았지만 권노갑 전 상임고문, 박지원 의원으로 대표되는 동교동계를 겨냥하고 있다. 둘 다 탈당할 때 ‘김대중의 비서실장’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김 교수는 얼마 전 김한정 예비후보의 출판기념회에서 축사를 할 때 박지원 의원이 맨 앞줄에 앉아 있는데도 “지금 김대중 정신은 분열, 탈당이 아니라 통합, 단결”이라고 강조해 둘 사이에 묘한 긴장감이 흐르기도 했다는 게 참석자들의 얘기다.

김 교수가 동교동계를 비판하기란 쉽지 않다. 코흘리개 시절부터 ‘아저씨’라고 부르며 따르던 이들이고, 삼형제 중 막내인 자신을 유달리 귀여워해주던 이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 교수는 “동교동계 어른들이 아버지 이름을 내세우며 탈당을 하고 분열을 일삼는데, 나라도 나서서 바로잡지 않으면 아버지 뜻이 훼손돼버리고 만다”며 나서기로 했다는 게 지인의 설명이다.

좀체 정치적 발언을 하지 않던 김 교수가 직접 나서게 된 건 ‘오보’ 때문이기도 하다. 안철수 의원이 새해 인사차 어머니 이희호씨를 만나고 간 뒤 마치 어머니가 안 의원을 지지하는 발언을 한 것처럼 신문보도가 나오자 ‘격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이후 자신의 활동과 관련해 “저는 자리에 연연하지 않습니다. 김대중, 노무현의 사람들이 함께 손을 잡고 전국을 돌며 정권교체를 역설하라면 그렇게 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애초 불출마 선언부터 하려고 했으나 당에서 “혹시 어려운 지역에 나와달라고 당이 요청할 수도 있으니 아예 문을 닫지는 말아달라”고 요청해 불출마와 관련한 직접적인 언급은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글·사진 김의겸 선임기자 kyumm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김홍걸 “분열의 이름으로 아버지를 말하지 말라”
“산업화세대는 영화 속 할아버지 …386은 눈앞에 실재하는 꼰대”
여성 몰카는 성범죄? 그때그때 달라요~
[한겨레 그림판 몰아보기] 청년을 걱정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
[화보] 사람 잡는 키스…꼭 이렇게까지?

공식 SNS [페이스북][트위터] | [인기화보][인기만화][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